삼국통일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분해/합체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135

한자 : 三國統一

b02-05 분해/합체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lass (개념범주)

 

 

Y03 사건명 Event Name ()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삼국시대 [ 三國時代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통일 () [ 統一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관련 사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열왕 (654-661) [ 武烈王 ]

RT (관련어)

 

 

나당연합군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신라 () [ 新羅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문무왕 (661-681) [ 文武王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덕여왕 (632-647) [ 善德女王 ]

一然의 一統三韓 認識

Ilyeon(一然)’s Perception of Iltong-samhan(一統三韓)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