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분해/합체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47

한자 : 統一
영어 : unification

b02-05 분해/합체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중립화 통일 [ 中立化統一 ]

hasKind (종류)

 

 

조국 통일 [ 祖國統一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흡수 통일 [ 吸收 統一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민족 통일 [ 民族統一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사법 통일 [ 私法 再統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재통일 [ 再統一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평화 통일 () [ 平和統一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통일 여건 형성 [ 統一與件形成 ]

hasIssue (이슈/주제)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통일 과정 [ 統一過程 ]

hasIssue (이슈/주제)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통일 전략 [ 統一戰略 ]

isConceptOf (개념(전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통일 관계법 [ 統一關係法 ]

isConceptOf (개념(전체))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통합 () [ 統合 ]

isConceptOf (개념(전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통일법 [ 統一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통일 교육 () [ 統一敎育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통일 전망 [ 統一展望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통일 이후 [ 統一以後 ]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통일 정부 [ 統一政府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네루 [Nehru, Pandit Jawaharlal]

N3:사례

hasInstance (사례)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c03-05 정치/국제 /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독일통일 () [ 獨逸統一 ]

hasInstance (사례)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중국통일 () [ 中國統一 ]

hasInstance (사례)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삼국통일 (신라) [ 三國統一 ]

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순수이성비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1)

Analyticity and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f Kant: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1)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한국 현대시와 지리산-‘지리산’의 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Jiri-Mountain of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1장 국가보훈의 이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ology of National Veterans Affairs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Just Peace and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On the Theory of Reunification in Byung Mu Ahn

신학사상 | 155 | 2011 | 기독교신학

‘문선명 총재-김일성 주석 단독회담’의 역사적 의미와 평가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ssessment on the Summit-level Meeting between Moon Sun-myung (President of FFWPU) and Kim Il-sung (Leader of North Korea / Eternal President of DPRK)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속담에 나타난 서울 인식

Understanding Seoul As Revealed in Proverbs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지역의 농지사유화와 관련한 법적 문제

Legal Matters in connection with the Agrarian Privatization in North Korea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북한의 대내․대남정책 평가 : ‘후계계승의 정치와 정통성 문제’를 중심으로

An Consideration of North Korea’s Hard-line Domestic and South Korea Policy : Focused on Succession Politics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대내․대남정책 평가 : ‘후계계승의 정치와 정통성 문제’를 중심으로

An Consideration of North Korea’s Hard-line Domestic and South Korea Policy : Focused on Succession Politics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영토변증설(領土辨證說)

Zur Dialektik des Staatsgebietes

세계헌법연구 | 17 | 2 | 2011 | 법학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O.K.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통일 이후 남·북한 경찰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South-North Korean Police System after Reunification

북한학연구 | 7 | 2 | 2011 | 북한

동북아 평화와 인천의 NLL 문제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ern Limit Line in Incheon

인천학연구 | 1 | 16 | 2012 | 기타인문학

북한의 도서관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ibrary Law in North Korea

법학논고 | 34 | 2010 | 법학

북한의 도서관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ibrary Law in North Korea

법학논고 | | 34 | 2010 | 법학

범주의 선험적 연역에서 상상력

Imagination in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범주의 선험적 연역에서 상상력

Imagination in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국가보훈과 한반도 통일 - ‘국가보훈학’의 개념정립과 관련하여 -

The Veterans Welfare and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On Setting up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민족사상 | 5 | 1 | 2011 | 한국정치사상

북한의 통일전선전술에 대한 시론적 고찰: 남남갈등 극복과 통일지향의 관점에서

North Korea’s United Front Tactics against Sou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통일전선전술에 대한 시론적 고찰: 남남갈등 극복과 통일지향의 관점에서

North Korea’s United Front Tactics against Sou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남북한의 ‘국가보훈’에 대한 인식과 그 특성 비교

A Comparison with Realization and Characteristic in National Merit Reward of South and North Korea

북한학보 | 37 | 1 | 2012 | 북한

제9장 A Province of 'Eurabia' - Migration in Germany afterReunification -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9장 A Province of 'Eurabia' - Migration in Germany afterReunification -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Resolving the North Korean Question: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북한 문제에 대한 한 해결 방안: 구성주의 시각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제9장 통독 후 독일의 인구이동과 농촌 붕괴로 인한 사회 문제 연구 - 한국의 남북통일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을 중심으로 -

Migration and Rural Depopulation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 Lessons for the Korean Reunification -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푸에블로호 사건과 한미관계

Pueblo incident and Korea-U.S. relation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푸에블로호 사건과 한미관계

Pueblo incident and Korea-U.S. relation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서로주체적 통합'의 개념

Allelosubjective Integration: A Conceptual Inquiry

한국과 국제정치 | 27 | 3 | 2011 | 정치외교학

독일 통일 이후 독일노총의 임금동질화 정책:1990-2003년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독일 통일 이후 독일노총의 임금동질화 정책:1990-2003년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兩岸 經協이 兩岸關係에 미치는 影響

Study for Effect of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ECFA) in Cross-Strait Relations

정치·정보연구 | 14 | 1 | 2011 | 정치외교학

통일이후의 독일통일과 남북의 통일: 하버마스의 후기자본주의 사회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Germany After Unificatio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상호관계 연구

European Integration and German Unification

국제지역연구 | 14 | 4 | 2011 | 지역학

五代十國의 통일 방략

五代十國の統一方略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중국의 패권주의와 對한반도 전략: 역사 분쟁, 영토 분쟁, 對북한투자의 함의

A Study on Chinese Hegemonism and the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Implications of Chinese Historical Dispute, Territorial Dispute and Investment to North Korea

한국정책연구 | 12 | 1 | 2012 | 기타행정학

통일 이후 구동독 공업도시들의 도시특성과 도시성장에 관한 연구: 라이프찌히와 할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Urban Growth of the Cities in the Former GDR After German Unification: In the Case of Leipzig and Halle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통일 이후 구동독 공업도시들의 도시특성과 도시성장에 관한 연구: 라이프찌히와 할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Urban Growth of the Cities in the Former GDR After German Unification: In the Case of Leipzig and Halle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급변사태 시 한미공조의 방향

Coping with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Directions for ROK-U.S. Cooperation

신아세아 | 18 | 4 | 2011 | 정치외교학

도산 안창호의 구국투쟁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ature and Meaning of the Dosan Ahn Chanho's Struggle for Korean Independence from Imperialist Japan

민족사상 | 5 | 3 | 2011 | 한국정치사상

북한의 명승지ㆍ천연기념물보호와 관련한 법 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egal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in North Korea

가천법학 | 5 | 1 | 2012 | 법학

희망의 편린을 찾아서 - 잉고 슐체의 <심플 스토리즈>에 나타난 동독주민의 삶과 전망

Suche nach einem Stück Glück - Das Leben und Glück von Ostdeutschen in Ingo Schulzes Simple Storys

카프카 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희망의 편린을 찾아서 - 잉고 슐체의 <심플 스토리즈>에 나타난 동독주민의 삶과 전망

Suche nach einem Stück Glück - Das Leben und Glück von Ostdeutschen in Ingo Schulzes Simple Storys

카프카 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예멘 내전의 사적(史的)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Historical Newlight of Yemen civil war and Meaning to Unification for Korean peninsula

군사연구 | 132 | 2011 | 역사학

분단극복의 민족적 과제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National task of Overcoming the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Contract Law in the European Union: on Harmonization and Optional Codes

법학논총 | 18 | 2 | 2011 | 비교법학

차이, 공생, 통일로 엮는 한국인문학의 신지평 모색

Research for New Paradigm on Humanities in Korea woven by Difference, Symbiosis and Unification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차이, 공생, 통일로 엮는 한국인문학의 신지평 모색

Research for New Paradigm on Humanities in Korea woven by Difference, Symbiosis and Unification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북한지역 산림법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Woodland Ownership System in North Korea

원광법학 | 26 | 2 | 2010 | 기타법학

북한지역 산림법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Woodland Ownership System in North Korea

원광법학 | 26 | 2 | 2010 | 기타법학

북한 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

An Analysis on the Reality of Reunification of Korea and the Collapse of North Korea

국가전략 | 16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급변사태와 통일에 대한 현실성 분석과 과제

An Analysis on the Reality of Reunification of Korea and the Collapse of North Korea

국가전략 | 16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심각한 불안정” 사태 시 한국의 “적극적” 개입: 정당성과 과제 분석

Active Engagement of South Korea in case of Extreme Instability of North Korea Justification and Tasks

평화연구 | 19 | 2 | 2011 | 정치외교학

통일 후 남북한 농어촌청소년의 과제

The Task of the Rural Youth after Unification

청소년학연구 | 17 | 12 | 2010 | 기타사회과학

통일 후 남북한 농어촌청소년의 과제

The Task of the Rural Youth after Unification

청소년학연구 | 17 | 12 | 2010 | 기타사회과학

통일 독일의 공적개발원조(ODA)정책: 변화요인과 주요 특징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Policy in the reunified Germany: eterminants of change and main characteristics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2 | 2011 | 지역학

아시아契約法 統一의 可能性과 方法

Possibility and method of Asian Contract Law

법학연구 | 52 | 2 | 2011 | 기초법

분단국의 통일사례 비교 -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A Plan for Korean Unification in View of Other Cases of Unification

대한정치학회보 | 18 | 3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반도 통일과 중립화단계의 상관관계 고찰

Study on the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and Neutralization of Stage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Popular Perception of Social Integration Level in East and West Germany after the Unification

유럽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Popular Perception of Social Integration Level in East and West Germany after the Unification

유럽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tension of theory and the combination of reality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tension of theory and the combination of reality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제2판' 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Evaluation on the Reemergence of North Korea's Collapse Theory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독일 통일 20년의 정치경제 ― 비판적 평가와 시사점

Critical Review o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Twenty Year German Unific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1 | 2011 | 정치외교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59 | 2010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 59 | 2010 | 법학

한반도 통일비전과 통일교육의 재인식

Need for Re-recognition of the Vision of Unifi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ducation for Unification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독일 통일 20년 - 사회ㆍ문화적 통합의 성과와 시사점

Sozio-kulturelle Integration nach 20 Jahren deutsche Wiedervereinigung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독일 통일 20년 - 사회ㆍ문화적 통합의 성과와 시사점

Sozio-kulturelle Integration nach 20 Jahren deutsche Wiedervereinigung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한반도 통일과 반법치국가적 불법청산의 과제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the Problem of ‘Anti-Rule of Law’ in North-Korea

공법연구 | 40 | 3 | 2012 | 법학

통일 당위성과 통일편익의 법적기반 조성을 위한 조세 및 토지정책 연구

Overlook on Legal Measures of Advantages of Unification to Inspire the Appropriateness of Unification

한양법학 | 23 | 3 | 2012 | 법해석학

독일 통일과정에서의 갈등사례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The Conflict in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 to Korean Peninsula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독일 통일과정에서의 갈등사례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The Conflict in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 to Korean Peninsula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독일선거제도를 통해 본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Electoral System of Unified Korea: Based on the German Electoral System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독일선거제도를 통해 본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Electoral System of Unified Korea: Based on the German Electoral System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통일시대 인적자원관리의 현황과 과제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Era of Korean Unification: Present and the Future

Korea Business Review | 16 | 2 | 2012 | 경영교육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한국의 전략

Strategy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System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연구 | 16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The Role of the Welfare State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of Germany

경상논총 | 29 | 3 | 2011 | 경제학

통일비용에 대한 사회정의론적 접근 연구: 공적자금으로서 통일비용과 공정성으로서의 정의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Social Justice Approachto the Unification Cost: Focusing on Public Funds for the Unification Cost and Justice as Fairness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남북한 통일교육의 전략과 전망

The Prospect and the Strateg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outh korea & North korea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분단의 아비투스에 관한 철학적 성찰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Habitus of Division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분단의 아비투스에 관한 철학적 성찰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Habitus of Division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