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왕양명의 良知와 致良知에 의한 도덕과 통일교육 방안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subject by Wang Yang Ming's Yang Zhi(良知) and Chi Yang Zhi(致良知)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단군신화>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
Receptive Aspects of Dangun Myth and Characteristics of Reception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초․중학교에서의 민족공동체교육 활성화 방안
A Study on Analysis of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 & Middle School Textbook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다문화 사회에서 학교 통일교육의 새 활로
New directions of school-base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과 통일교육
Muiticultur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Unification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북한의 소학교용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규범의 분석: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North Korean Ethical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Communist Ethics: Focus on the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북한의 소학교용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규범의 분석: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North Korean Ethical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Communist Ethics: Focus on the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북한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김일성 부자의 우상화 개념과 서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dolization Concept and Description of KIM, Il Sung and His Son, Demonstrated on the Elementary Textbook of North Korea
기독교교육 논총 |
30 |
2012 |
기독교교육
통일준비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학계 통일준비 공론화 사업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n Unification Prepar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Unification Preparation in Academic Field
평화학연구 |
13 |
3 |
2012 |
정치외교학
사회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을 중심으로
The Actual Condition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Field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Governance
윤리연구 |
1 |
82 |
2011 |
학제간연구
초등사회과 교과서에서의 자국상 형성 논리 - 통일교육을 사례로 -
The Formation of Self-Portrait of Own Country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 of Social Studies in Korea: In the Case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사회과교육 |
51 |
3 |
2012 |
교육학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
Adolescents?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Society -
사회과교육 |
51 |
1 |
2012 |
교육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해소를 위한 교수 전략
Teaching strategies for reducing students' stereotypes toward North Korean refugee
통일문제연구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Anti-Americanism and Structural Violence in North Korea
북한의 반미사상과 구조적 폭력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Anti-Americanism and Structural Violence in North Korea
북한의 반미사상과 구조적 폭력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
통일비용 관련 통일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on Unification Costs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기독교 유아통일교육의 방향성 모색
A Study on the Direction toward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과 통일교육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Unification Education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제8장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n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Subject at Middle School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8장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n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Subject at Middle School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뉴 미디어 시대의 바람직한 통일교육의 방향: 민주적 시민성에 기초한 통일리더십 함양 방향을 중심으로
A Desirabl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Age of New Media
인문사회과학연구 |
35 |
2012 |
학제간연구
다문화 시대의 ‘통민족주의’와 통일교육
Unification Nationalism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다문화 시대의 ‘통민족주의’와 통일교육
Unification Nationalism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새로운 통일교육의 지향, 평화와 안보의 균형 추진
New Direction forward Unification Education, Proceeding Balance between Peace and Security
도덕윤리과교육 |
35 |
2012 |
교육학
남북한 통합을 위한 시민교육의 과제
The Task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South-North Korean Integration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학교 통일교육의 현재아 미래 -평화와 안보의 발전적 통섭을 위하여-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public education for unification -For the developmental consilience of peace and security
북한학연구 |
8 |
1 |
2012 |
북한
청소년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형 -‘고난함께’의 “평화캠프” 사례를 중심으로-
The New Model for Juveniles Unification Education: A Case Study of “Peace Camp”
기독교교육 논총 |
29 |
2012 |
기독교교육
남북한 통일교육의 전략과 전망
The Prospect and the Strateg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outh korea & North korea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제3장 통일환경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Unification Environments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적 접근의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es towar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한반도 통일비전과 통일교육의 재인식
Need for Re-recognition of the Vision of Unifi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ducation for Unification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사이버통일교육을 위한 질 관리 평가 준거 개발
Developing Criteria for Quality Management in Cyber Unification Education
통일전략 |
12 |
2 |
2012 |
북한정치/통일
일교육 방향성 연구
A Study of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일교육 방향성 연구
A Study of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집단지성 기반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about Unification Edu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광주․전남지역 초등교육 현장의 통일문제 관련 의식 조사연구
Study on the National Reunification Problems Oriented Consciousness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제4장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갈등해결을 위한 용서전략의 타당성 - 통일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Forgiveness as a Strategy to Resolve Inter-Korean Conflic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4장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갈등해결을 위한 용서전략의 타당성 - 통일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Forgiveness as a Strategy to Resolve Inter-Korean Conflic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2장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A study on Transition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its Direction in School
통일전략 |
10 |
2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2장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A study on Transition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its Direction in School
통일전략 |
10 |
2 |
2010 |
북한정치/통일
도덕과 통일교육의 정의적 접근
The Affective and Conative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평화학연구 |
12 |
1 |
2011 |
정치외교학
Reunification Education Viewed from Peace Education of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의 평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
비교교육연구 |
21 |
3 |
2011 |
교육학
청소년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 - 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으로 -
Self-directed Learning in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2 |
2010 |
교육철학/사상
청소년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 - 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으로 -
Self-directed Learning in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2 |
2010 |
교육철학/사상
지역통일교육의 활성화방안 - 교육청과 지역협의회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ity of local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plan of links with local education offices & local unification education councils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학교 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Reflections on the Plans to Improve Unificaton Education at Schools
통일문제연구 |
24 |
1 |
2012 |
정치외교학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A Comparative Study on Consciousness Gap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통일교육의 ‘의미’에 기반 한 도덕과 교사의 조직 및 교육 기획 프레임 연구 -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ystematic and Educational Planning Frame in a Teacher of the Morals Education Based on 'Meanings' of Unification Education - Focused on a Theory for Communities of Practice -
교원교육 |
28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n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교육연구논총 |
32 |
2 |
2011 |
교육사회학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초등학교 통일수업
An unification instruction focused on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in elementary school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O.K.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통일교육 학술 연구 문헌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통일에 대한 태도의 관계 - 서울 지역 중학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Knowledge about North Korea of Teachers an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in Seoul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통일에 대한 태도의 관계 - 서울 지역 중학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Knowledge about North Korea of Teachers an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in Seoul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제5장 이러닝을 통한 효과적인 통일교육 교수방법 개발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E-Learning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21세기 통일교육의 방향성 : 현행 체제에 대한 평가와 지향
Directions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21st Century: Evaluations and Goals for the Current System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도덕·윤리과 교육에서의 통일 교육에 대한 성찰
Reflecting on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Subject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윤리과 교육에서의 통일 교육에 대한 성찰
Reflecting on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Subject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