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통일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70

한자 : 民族統一
영어 : National unity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통일 () [ 統一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평화 통일 () [ 平和統一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c03-05 정치/국제 /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독일통일 () [ 獨逸統一 ]

남북한과 <역사비평>: 25년의 성과와 방향

Two Koreas and : 25 Years of Achievements and Direction

역사비평 | 100 | 2012 | 역사학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Discuss Reunific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Ethnology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Discuss Reunific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Ethnology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

4.19직후 『사상계』의 민주화 담론과 소설에 제기된 연좌제 문제

A discourse for democrac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Guilt-by-association System in Novels Written in Sasanggye after the 4.19 Revolution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직후 『사상계』의 민주화 담론과 소설에 제기된 연좌제 문제

A discourse for democrac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Guilt-by-association System in Novels Written in Sasanggye after the 4.19 Revolution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