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통일

연구분야 : A020408 인문학 > 역사학 > 서양사 > 독일사

클래스 : 정치/국제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60

한자 : 獨逸統一
독일어 : Deutsche einheit
영어 : German unification

c03-05 정치/국제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통일 () [ 統一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독일 문제 () [ 獨逸問題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민족 통일 [ 民族統一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환기 문학 [ 轉換期 文學 ]

hasPhenomenon (현상)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흡수 통일 [ 吸收 統一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2 국민 국민

동독 여성 [ 東獨女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남북 통일 [ 南北統一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자유의 이피게니에 [ 自由--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굿바이 레닌 [GOOD BYE, LENIN!]

RT (관련어)

 

 

베를린 장벽 [ --障壁 ]

통일세와 통일비용

Korea’s Unification Tax and Unification Cost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통일세와 통일비용

Korea’s Unification Tax and Unification Cost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독일과 우리나라의 통일비용 및 통일재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Unification Costs and Fiscal Sources between Germany and Korea

재정학연구 | 4 | 2 | 2011 | 경제학

Die Entwicklung der Parteiensysteme in den neuen Bundesländern nach der deutschen Vereinigung

독일통일 이후 신연방주에서의 정당체제의 발전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Die Entwicklung der Parteiensysteme in den neuen Bundesländern nach der deutschen Vereinigung

독일통일 이후 신연방주에서의 정당체제의 발전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통일 이후 동서독 간 갈등의 재조명 - 2000년대 오스탈기 붐과 동독 이상화 현상을 보는 독일사회의 시각변화

Deutsch-deutsche Konflikte nach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 Neue Sicht auf das Phänomen der Ostalgie und Verklärung der DDR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Westalgie in Jochen Schimmangs Das Beste, was wir hatten

요한 쉬망의 「우리가 가졌던 최고의 것」에 나타난 베스탈기

독어독문학 | 52 | 4 | 2011 | 독일어와문학

근대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역사적 성찰 -베를린 장벽의 붕괴 20주년과 그 함의를 찾아-

A Philosophical-Historical Reflection on the Modernity ―In Search of the Meaning of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Berlin Wall―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근대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역사적 성찰 -베를린 장벽의 붕괴 20주년과 그 함의를 찾아-

A Philosophical-Historical Reflection on the Modernity ―In Search of the Meaning of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Berlin Wall―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독일교회에 비추어본 한국교회의 남북통일을 위한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68 | 2010 | 기독교신학

독일교회에 비추어본 한국교회의 남북통일을 위한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68 | 2010 | 기독교신학

김대중 정부 이후 한반도에서의 통일노력: 한계와 지향점

Trying for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After Kim Dae Jung Administration’s Launch: The Limits and the Destination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김대중 정부 이후 한반도에서의 통일노력: 한계와 지향점

Trying for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After Kim Dae Jung Administration’s Launch: The Limits and the Destination

신아세아 | 17 | 2 | 2010 | 정치외교학

단절인가 연속인가: 통일 독일에서의 여성의 삶 -케어스틴 헨젤의 『운하에서 춤을』

Bruch oder Kontinuität? Das Leben der ostdeutschen Frauen im wiedervereinigten Deutschland -Kerstin Hensels Tanz am Kanal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독일 신동방정책 결정 요인과 지속성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Durability of the German New East Policy

유럽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독일 신동방정책 결정 요인과 지속성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Durability of the German New East Policy

유럽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독일 통일 20년의 정치경제 ― 비판적 평가와 시사점

Critical Review o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Twenty Year German Unific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1 | 2011 | 정치외교학

1989/90년 독일통일 과정 시 서독 좌파의 비판과 대안들

Criticisms and Alternatives from the Left during the Unification in 1989/1990

서양사연구 | 43 | 2010 | 기타서양사

1989/90년 독일통일 과정 시 서독 좌파의 비판과 대안들

Criticisms and Alternatives from the Left during the Unification in 1989/1990

서양사연구 | | 43 | 2010 | 기타서양사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의 통일 정치의 이론과 실천 - 그 의미와 한계를 중심으로 -

Bismarck's Politics of Theory and Practice for the German Unification - Its Meaning and Limit

의정논총 | 6 | 2 | 2011 | 정치행정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Focused on the Northern Policy of Roh Tae-woo and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통일이 한국의 통일과제에 미친 영향. - 노태우의 북방정책과 김대중의 햇볕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Focused on the Northern Policy of Roh Tae-woo and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통일이 한국의 통일과제에 미친 영향. - 노태우의 북방정책과 김대중의 햇볕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A Lesson on Establishment Stage of Unified Constitution in Germany and a Consideration of Unified Constitution on Korean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1 | 2012 | 지역학

정치문화 측면에서 본 동서독 통합

A Political Perspective on German Reunification

인문사회과학연구 | 34 | 2012 | 학제간연구

독일통일후 구동독지역 산업구조 변화와 한반도 통일시 정책적 시사점

Industrial Structure Change in the New Federal States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Lessons for Korea

경상논총 | 29 | 3 | 2011 | 경제학

Die deutsche Militärvereinigung als zukünftiges Modell für die koreanische Halbinsel

The Significance of German Military Unification: A Model for the Future of Korrean Peninsula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인구이동 및 인구변화와 한반도 통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East-West Migration and Demographic Change in the former GDR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Lessons for Korea

경상논총 | 28 | 1 | 2010 | 경제학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인구이동 및 인구변화와 한반도 통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East-West Migration and Demographic Change in the former GDR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Lessons for Korea

경상논총 | 28 | 1 | 2010 | 경제학

독일 통일과 경제통합 과정에 대한 평가: 한국 언론에 비친 통일방식과 통일비용 논의를 중심으로

Appraisals of German Unific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Focused on Modus and Costs of Unification Mirrored at Korean Newspapers

경상논총 | 29 | 3 | 2011 | 경제학

독일 통일의 국내정치적 결정요인 분석: 수상리더십과 정당정치적 요인

Domestic Political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The Chancelor Leadership and Partisan Political Factor

한국정치학회보 | 45 | 4 | 2011 | 정치외교학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The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for the Korean Unification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Deutsche Einheit als ein Muster- und Gegenbild für die koreanische Wiedervereinigung

한반도 통일의 모범이자 반면교사로서의 독일통일

독어독문학 | 52 | 4 | 2011 | 독일어와문학

통일이후의 독일통일과 남북의 통일: 하버마스의 후기자본주의 사회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Germany After Unificatio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더 나은 통일안'은 없었는가?: 1989/90년 헬무트 콜, 국가연합 그리고 독일 통일

Kein "besserer Vorschlag"?: Kohl, Konföderation und die deutsche Einheit 1989/90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0 | 2010 | 역사학

'더 나은 통일안'은 없었는가?: 1989/90년 헬무트 콜, 국가연합 그리고 독일 통일

Kein "besserer Vorschlag"?: Kohl, Konföderation und die deutsche Einheit 1989/90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 20 | 2010 | 역사학

Die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 ein internationales Machtspiel um Europa

독일의 통일 - 유럽을 둘러싼 국제적 권력게임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0 | 2010 | 역사학

Die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 ein internationales Machtspiel um Europa

독일의 통일 - 유럽을 둘러싼 국제적 권력게임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 20 | 2010 | 역사학

Die deutsche Vereinigung aus der Perspektive von DDR-Frauen

동독 여성의 관점에서 본 독일 통일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0 | 2010 | 역사학

Die deutsche Vereinigung aus der Perspektive von DDR-Frauen

동독 여성의 관점에서 본 독일 통일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 20 | 2010 | 역사학

Die wirtschaftlichen und sozialen Probleme der Umwandlung von landwirtschaftlichen Produktionsgenossenschaften (LPG) in der ehemaligen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DDR) in marktwirtschaftlich orientierte Genossenschaften in den neuen Bundesländern.

구동독의 농업생산협동조합이 시장경제적 협동조합으로 전환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문제점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1 | 2012 | 지역학

유럽통합의 관점에서 본 독일통일: 유럽통합 진전에 따른 통일의 진전과 통합과정에서의 동유럽 통합절차와 차별성

German Re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Reunification Progress related to European Integration Progress and Difference of Community Accession procedure between East Germany and East European Countries

국제정치논총 | 50 | 5 | 2010 | 정치외교학

유럽통합의 관점에서 본 독일통일: 유럽통합 진전에 따른 통일의 진전과 통합과정에서의 동유럽 통합절차와 차별성

German Re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Reunification Progress related to European Integration Progress and Difference of Community Accession procedure between East Germany and East European Countries

국제정치논총 | 50 | 5 | 2010 | 정치외교학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 변화

Strukturwandel der ostdeutschen Machteliten nach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3 | 2010 | 지역학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 변화

Strukturwandel der ostdeutschen Machteliten nach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3 | 2010 | 지역학

독일통일 후 동서독 교육통합 사례 연구-학제, 교육과정, 교사 재임용 사례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Integration of the East and West German Educational System After German Unification-Focused on Educational Structure, Curriculum, Teacherpolicy-

비교교육연구 | 22 | 1 | 2012 | 교육학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의 필요성

Research on the improvements of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법조 | 61 | 2 | 2012 | 법학

독일 통일 과정에서 발생한 구(舊) 동독 농업생산협동조합의 체제전환에 따른 문제점 - 법․정치적 문제 제기를 중심으로 -

Die Probleme der Transformation von Landwirtschaftlicher Produktionsgenossenschaften(LPG) in der ehemaligen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DDR) im Rahmen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Schwerpunkt: Die Hervorhebung der politischen und rechtlichen Problemen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1 | 2011 | 지역학

통일 독일의 정치지형 변화 연구: 정당체제를 중심으로

Political changes in the reunified Germany: focusing on party system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2 | 2010 | 지역학

통일 독일의 정치지형 변화 연구: 정당체제를 중심으로

Political changes in the reunified Germany: focusing on party system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2 | 2010 | 지역학

Erfahrungen mit der Transformation von landwirtschaftlichen Produktionsgenossenschaften (LPG) in der ehemaligen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DDR) in marktwirtschaftlich orientierte Agrargenossenschaften

시장경제의 농(農)협동조합으로 전환한 구동독 농업생산협동조합의 경험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3 | 2012 | 지역학

독일의 분단과 통일이 한국 교회에 주는 교훈 ―동서독교회의 사역과 신학을 중심으로

Deutsche Teilung und Einheit als ein Vorbild für die koreachen Kirchen: Aktivität und Theologie der ev. Kirchen in BRD und DDR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독일의 분단과 통일이 한국 교회에 주는 교훈 ―동서독교회의 사역과 신학을 중심으로

Deutsche Teilung und Einheit als ein Vorbild für die koreachen Kirchen: Aktivität und Theologie der ev. Kirchen in BRD und DDR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독일통일기의 독어교육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통일기의 독어교육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 통일 후의 역사교육: 신연방주를 중심으로

Geschichtsunterricht nach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neuen Bundesländer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1 | 2011 | 역사학

동독과 신연방주 역사 교과서의 분단사 서술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Description of German History of Division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n the East Germany and new federal States

한국교육학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동독과 신연방주 역사 교과서의 분단사 서술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Description of German History of Division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n the East Germany and new federal States

한국교육학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제8장 독일의 전승 4개국에 대한 통일외교 재조명 - 정부수립 이후 통일 직전까지-

Analyzing West German diplomacy from the time it opened itself to foriegn influences up to its unification with East Germany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