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강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699

STNet ID : 1002641

한자 : 憲康王
재위기간 : 875-886
기타 : 김정(金晸)

y01-01 실존인물

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직업

왕(王) (王)

생몰년_t

?-886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신라 () [ 新羅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헌강왕릉 () [ 憲康王陵 ]

RT (관련어)

 

 

보리사 [ 菩提寺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정강왕 (886-887) [ 定康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경문왕 (861-875) [ 景文王 ]

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

The adoption of Goonrye by Silla and its royal authority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

The adoption of Goonrye by Silla and its royal authority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서사구조로 본 <처용랑망해사>의 성격

Characteristics of Choyongrang and Manghaesa(虛容郞望海寺) In View of Narrative Structur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라 憲康王과 義明王后, 그리고 ‘野合’과 孝恭王-특히 신라말 ‘非眞骨王’의 등장과 관련하여-

新羅憲康王, 義明王后, ‘野合’及孝恭王-关于新羅末‘非眞骨王’的出现-

신라사학보 | 22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