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랑비서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927

한자 : 鸞郎碑序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난랑비서문 [ 鸞郞碑序文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고운선생속집 [ 孤雲先生續集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국사기 () [ 三國史記 ]

고운 최치원의 학문정신: 현묘지도(玄妙之道)설에 담긴 혼종과 관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孤雲崔致遠的學問精神: 從玄妙之道說看混融和寬容的思想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風流道와 孤雲 崔致遠의 東人의식

A Study on the FungRyuDo(The Tao of BaeDal) and the Thoughts of DongIn (The East-ism or Eastern Culture) in Choi, Chi-Won(AD 857-?)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최치원과 도교의 관계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유선도와 중국도교의 관계를 중심으로-

对于崔致遠與道敎關係問題之批判的檢討 -以固有仙道⋅中國道敎之關係爲中心-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최치원 ‘國有玄妙之道’설의 재해석* -‘한국 고대 신선사상의 지속과 변용’의 시각에서-

再論崔致遠‘國有玄妙之道’說 -從韓國古代神仙思想的繼續和變遷的角度來看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최치원의「난랑비서」의 해석의 여러 쟁점 : 풍류의 현묘지도(玄妙之道)와 천지인 묘합의 삼재지도(三才之道)

Issues of interpretation on the Rhan-Lang-Bi-Seo「 鸞郞碑序」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