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27

STNet ID : 1000908

한자 : 崔致遠
영어 : Choi Chiwon
음차어 : Choi Chi-won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해운 [ 海雲 ]

UF (비우선어)

 

고운 [ 孤雲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최치원 설화 [ 崔致遠說話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최고운전 () [ 崔孤雲傳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남악서원 [ 南岳書院 ]

RT_Y (◄관련어)

배향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무성서원 () [ 武城書院 ]

김동리 소설의 변신 모티프 연구-신라 연작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tif of Metamorphosis in Donglee Kim’s Novels :Focusing on Donglee Kim’s Historical Novels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 소설의 변신 모티프 연구-신라 연작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tif of Metamorphosis in Donglee Kim’s Novels :Focusing on Donglee Kim’s Historical Novels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려 광종대 유교적 정치이념과 崔行歸

高麗光宗代儒敎的政治理念と崔行歸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고려 광종대 유교적 정치이념과 崔行歸

高麗光宗代儒敎的政治理念と崔行歸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최고운전>과 『삼국사기』 <최치원전>에 그려진 최치원의 인물 형상

The Character of Choi, Chi-won of and in 『Samkook Sagi(三國史記)』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在唐 新羅人의 도교 활동과 羅唐간의 상호적 仙遊에 관한 연구

新羅人在唐朝的道敎活動, 以及羅唐之間雙向仙遊的硏究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佛國寺 題詠詩 硏究

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佛國寺) temp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在唐 新羅人의 도교 활동과 羅唐간의 상호적 仙遊에 관한 연구

新羅人在唐朝的道敎活動, 以及羅唐之間雙向仙遊的硏究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최고운전)’s crea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its first edi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從崔致遠、洪純彥故事 看中韓文化交流的複雜心態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佛國寺 題詠詩 硏究

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佛國寺) temp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A Study on Choi Chi-won in Travel Journals of Mt. Jiri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靑鶴洞」 詩에 表象된 神仙思想

A study on the thought of Taoist Hermit symbolized in the CheongHakDong' poems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Beyond the Gendered Plot and Aesthetic of Cheongi-soseol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Beyond the Gendered Plot and Aesthetic of Cheongi-soseol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학 설립의 의의와 신라유학의 발전

The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the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Silla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학 설립의 의의와 신라유학의 발전

The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the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Silla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Beyond the Gendered Plot and Aesthetic of Cheongi-soseol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Beyond the Gendered Plot and Aesthetic of Cheongi-soseol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崔致遠> 揷入詩歌의 양상과 기능

A Study on Inserted Poetry of Choi Chi-won

어문론집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A Study on Choi Chi-won in Travel Journals of Mt. Jiri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전기(傳奇) <최치원(崔致遠)> 다시 읽기

Re-read Chuanqi

문학치료연구 | 16 | 2010 | 문학교육

전기(傳奇) <최치원(崔致遠)> 다시 읽기

Re-read Chuanqi

문학치료연구 | 16 | | 2010 | 문학교육

해운대 풍경의 시적 관념화 고찰 -소재적 접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ic idealization from the scenic of Haewoonda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해운대 풍경의 시적 관념화 고찰 -소재적 접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ic idealization from the scenic of Haewoonda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신라 하대 景文王系 왕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

Choi Chi-won's Perceptions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Silla

신라사학보 | 22 | 2011 | 역사학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Assignment & Translation Status of Writing of Choi, Chi W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녀 주인공의 성적․사회적 욕망

Study on the desire of 's hero and heroine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桂苑筆耕集?과 唐後期 進奏院의 기능

《桂苑笔耕集》与唐代后期进奏院的功能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신라 하대 景文王系 왕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

Choi Chi-won's Perceptions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Silla

신라사학보 | 22 | 2011 | 역사학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Assignment & Translation Status of Writing of Choi, Chi W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Assignment & Translation Status of Writing of Choi, Chi W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계원필경집?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A Value as historical documents of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桂苑笔耕集≫与崔致远的交友關係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桂苑笔耕集≫与崔致远的交友關係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선도의 기원과 근거 문제

韓國仙道之起源與根據問題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Choi, Chi-Won” Focusing on Non-Dualism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Choi, Chi-Won” Focusing on Non-Dualism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 ‘國有玄妙之道’설의 재해석* -‘한국 고대 신선사상의 지속과 변용’의 시각에서-

再論崔致遠‘國有玄妙之道’說 -從韓國古代神仙思想的繼續和變遷的角度來看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秋夜雨中>의 창작시기 再考

≪秋夜雨中≫創作時間再考論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계원필경집?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A Value as historical documents of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桂苑笔耕集≫与崔致远的交友關係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桂苑笔耕集≫与崔致远的交友關係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녀 주인공의 성적․사회적 욕망

Study on the desire of 's hero and heroine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 버림 혹은 떠남의 서사

“Choi, Chi-Won”, a Narrative of Abandonment or Leaving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Creation Background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ChoiChiw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Creation Background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ChoiChiw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원천소재 활용 양상과 ‘의미 겹침’으로서의 소설

An aspect of appling folklore into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o be a novel with ambiguousness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최고운전>의 원천소재 활용 양상과 ‘의미 겹침’으로서의 소설

An aspect of appling folklore into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o be a novel with ambiguousness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歸國期 崔致遠 漢詩의 自負와 壯心에 대하여 ? ?桂苑筆耕? 卷20에 수록된 漢詩 30수에 대한 독해 ?

A Study on Choi Chi-won(崔致遠)'s Poetry of Youthful Days, Especially in the Period of Returning to Silla(新羅)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최치원과 천부경

Choi, Chi Won’s Cheonbugyeong Interpretatio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고운 최치원의 학문정신: 현묘지도(玄妙之道)설에 담긴 혼종과 관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孤雲崔致遠的學問精神: 從玄妙之道說看混融和寬容的思想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歸國期 崔致遠 漢詩의 自負와 壯心에 대하여 ? ?桂苑筆耕? 卷20에 수록된 漢詩 30수에 대한 독해 ?

A Study on Choi Chi-won(崔致遠)'s Poetry of Youthful Days, Especially in the Period of Returning to Silla(新羅)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桂苑筆耕集?의 문화사적 이해

Understanding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from a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최치원 ‘國有玄妙之道’설의 재해석* -‘한국 고대 신선사상의 지속과 변용’의 시각에서-

再論崔致遠‘國有玄妙之道’說 -從韓國古代神仙思想的繼續和變遷的角度來看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한국선도의 기원과 근거 문제

韓國仙道之起源與根據問題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최고운전>의 원천소재 활용 양상과 ‘의미 겹침’으로서의 소설

An aspect of appling folklore into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o be a novel with ambiguousness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 「지증대사적조탑비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oi Chi Won's "Ji-jung dae-sa bimun"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최치원의 「지증대사적조탑비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oi Chi Won's "Ji-jung dae-sa bimun"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孤雲 崔致遠의 晩唐詩壇에서의 位相 - 唐나라 詩人과의 在唐期 交遊樣相을 中心으로 -

The Status of Choi Chi-won in the Poetical Cycles at the End of Tang Dynasty - Focused on the Aspect of Companionship with Tang Poets in Tang period -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孤雲 崔致遠의 晩唐詩壇에서의 位相 - 唐나라 詩人과의 在唐期 交遊樣相을 中心으로 -

The Status of Choi Chi-won in the Poetical Cycles at the End of Tang Dynasty - Focused on the Aspect of Companionship with Tang Poets in Tang period -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歸國期 崔致遠 漢詩의 自負와 壯心에 대하여 ? ?桂苑筆耕? 卷20에 수록된 漢詩 30수에 대한 독해 ?

A Study on Choi Chi-won(崔致遠)'s Poetry of Youthful Days, Especially in the Period of Returning to Silla(新羅)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고운 최치원의 학문정신: 현묘지도(玄妙之道)설에 담긴 혼종과 관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孤雲崔致遠的學問精神: 從玄妙之道說看混融和寬容的思想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최치원의 재당생애 재고찰

崔致远的在唐事迹再考论

한국민족문화 | 42 | 2012 | 기타인문학

정읍 피향정(披香亭) 제영시(題詠詩) 연구

A Study on the in Jeongeup

국어문학 | 52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Choi, Chi-Won” Focusing on Non-Dualism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Choi, Chi-Won” Focusing on Non-Dualism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 버림 혹은 떠남의 서사

“Choi, Chi-Won”, a Narrative of Abandonment or Leaving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고운전>과 『삼국사기』 <최치원전>에 그려진 최치원의 인물 형상

The Character of Choi, Chi-won of and in 『Samkook Sagi(三國史記)』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 「지증대사적조탑비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oi Chi Won's "Ji-jung dae-sa bimun"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최치원의 「지증대사적조탑비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oi Chi Won's "Ji-jung dae-sa bimun"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桂苑筆耕集?의 문화사적 이해

Understanding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from a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Creation Background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ChoiChiw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Creation Background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ChoiChiw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