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도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916

한자 : 花郞徒
동의어(UF) : 향도(香徒)
동의어(UF) : 국선도(國仙徒)
동의어(UF) : 원화도(源花徒)
동의어(UF) : 낭도(郎徒)
동의어(UF) : 풍류도(風流徒)
동의어(UF) : 풍월도(風月徒)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신라 시대 (新羅時代)

구분

수련 단체

설립목적_t

인재 양성과 무사 양성을 통한 국가 안위의 보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화랑 () [ 花郞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세속오계 [ 世俗五戒  ]

RT (관련어)

관련 문헌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해 속의 삼족오를 통해 본 ‘3’의 의미 고찰 - ‘해 속의 삼족오’와 한국 사상에 반영된 천지인 합일 사상-

The meaning of ‘3’ discussed through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 With reference to the ideology of the union of heaven, earth and man -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신라 國學의 설립과 그 주도세력

Establishment of Silla’s Gukhak and Its Leading Influenc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제2장 통일신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Unified Silla(통일신라)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2장 통일신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Unified Silla(통일신라)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yungryudo(風流道)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yungryudo(風流道)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탈근대관광 관점에서 화랑도의 관광자원화

Hwarangdo as a Tourism Resource in the Light of Postmodern Tourism

관광학연구 | 36 | 7 | 2012 | 관광학

고구려 扃堂의 설립과 의의

The Gyungdang(扃堂) of Goguryeo : Historical Evolution of Adolescent Age-group with the Formation of Centralized Aristocratic System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한국과 독일의 청소년운동에 관한 비교사적 연구 - 청소년운동을 통한 21세기 한국사회 변혁의 가능성 탐색 -

A Comparative Study On Youth Movements between Korea and Germany

청소년학연구 | 18 | 4 | 2011 | 기타사회과학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Nature, the Educational Space of Hwarangdo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Nature, the Educational Space of Hwarangdo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화랑 관창의 추억

追忆花郎官昌

신라사학보 | 24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