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

연구분야 : A030203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불교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102

STNet ID : 1002249

한자 : 一然
시호(諡號) : 보각(普覺)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목암 [ 睦庵 ]

S:전후

PT (이전명)

법명

 

견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지눌 () [ 知訥 ]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Samguk-yusa, Textually Integrated Or Not?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Samguk-yusa, Textually Integrated Or Not?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소원성취적 향가 논평

Wish Fulfillment Comments on Hyangga by Ilyeon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國遺事』에 반영된 고려 국내 유통 「慈藏傳」의 복원과 그 의미

『三國遺事』中折射出的高麗國內所流通之「慈藏傳」的內容及其意義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三國遺事』에 반영된 고려 국내 유통 「慈藏傳」의 복원과 그 의미

『三國遺事』中折射出的高麗國內所流通之「慈藏傳」的內容及其意義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一然의 一統三韓 認識

Ilyeon(一然)’s Perception of Iltong-samhan(一統三韓)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삼국유사』찬자의 상고기 정치체에 대한 계승 인식

『三國遺事』 撰者の上古期の政治體についての繼承認識

韓國史學史學報 | 23 | 2011 | 역사학

일연의 불교사상 - 조동선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

一然之佛敎思想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