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

연구분야 : A080900 인문학 > 불교학 > 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35

한자 : 知訥
동의어(UF) : 보조 지눌(普照知訥)
기타 : Jinul
기타 : Chinul
기타 : Bojo Jinul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보조 국사 [ 普照國師 ]

UF (비우선어)

 

불일보조 [ 佛日普照 ]

UF (비우선어)

 

목우자 [ 牧牛子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일연 () [ 一然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보조국사비 [ 普照國師碑 ]

RT (관련어)

법우(法友)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요세 () [ 了世 ]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묵조선 [ 默照禪 ]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Y06 기관/단체명 기관/단체명

한산사 [ 寒山寺 ]

isFounderOf (기관/단체명)

 

 

수선사 () [ 修禪社 ]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Buddhist School Name and Fou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Age -The Affiliation between Jogye School and Taego Legitimate Origin-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Buddhist School Name and Fou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Age -The Affiliation between Jogye School and Taego Legitimate Origin-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和諍論 : 불교해석학 연구의 自註, 혹은 補論

Harmonization(Samuccayavāda) between Āgama/Nikaya and Mahāyāna Sūtras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九山 禪師의 上堂法語集 『九山禪門』 分析 試論

An Analytic Essay on Ku-San's Nine Mountains(『九山禪門』), the Buddhist Sermon on the Dais.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Bak Hanyeong (1870-1948) and Anti-Chan Sectarianism

박한영(1870-1948)의 선 종파주의 비판: 신회, 종밀과 지눌의 선교 통합주의 전통 계승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韓國禪에 미친 馬祖禪의 영향

The Influence of Mazu's Ch'an on Korean Seo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보조 지눌 사상의 통시적(通時的) 현재성(現在性)

Diachronic Contemporaneity of Chinul's thought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수선사 목우가풍과 십우도 비교고찰

A Consideration by comparing the Mokwoogapoong and Ten Oxherding picture at Susun Temple

보조사상 | 38 | 2012 | 종교학

푸코의 ‘철학적 훈련’과 지눌의 ‘수행적 실천’이 지향하는 실존 양상의 비판적 함축에 대하여

On Critical implications of aesthetic of existence between Foucaudian 'philosophical exercises' and Ginul's 'performative practices'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雪巖秋鵬科評에 대해서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한국적 다문화교육과 불교

Korea-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한국 근․현대 看話禪師들의 普照禪에 대한 인식

The Recognition on Bojo's Seon b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Ganhwaseon Masters The Recognition on Bojo's Seon b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Ganhwaseon Masters

불교학보 | 58 | 2011 | 기타불교학

고려의 간화선과 현대적 과제

The Ganhwa-Meditation of Goryeo dynasty and The modern perspectiv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Chan Influence on Chinese Culture Draft

중국 문화를 견인한 선(禪)의 영향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원묘 요세의 이동경로에 따른 사상 추이 고찰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ough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route of Wonmyo Yos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in Pojo Chinul[普照知訥]'s perspective of Ganhwa Seon[看話禪]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in Pojo Chinul[普照知訥]'s perspective of Ganhwa Seon[看話禪]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임제 선법과 지눌 선법의 현상학적-시간론적 해명

An Elucid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Grounds for some Ideas of Zen of Lin-chi and Chi-nul

현상학과 현대철학 | 53 | 2012 | 철학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A Study on the Site Layout of Songgwangsa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A Study on the Site Layout of Songgwangsa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Chan Influence on Chinese Culture Draft

중국 문화를 견인한 선(禪)의 영향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일연의 불교사상 - 조동선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

一然之佛敎思想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九山 秀蓮의 禪사상 : 普照禪의 계승과 관련하여

The Seon Thought of Gusan-Suyeon -Related with the succession of Bojo's Seon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2010 | 종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 2010 | 종교학

普照知讷禅师禅法略论

보조지눌선사(普照知訥禪師)의 선법약론(禪法略論)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

知訥 「頓悟漸修」についての私見

知訥의 ‘頓悟漸修’를 둘러싼 나의 소견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普照知讷与四部典籍

보조지눌(普照知訥)과 사부전적(四部典籍)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頓悟漸修의 요가 철학적 성격

The Yoga Philosophic Characteristic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知訥と道元 -南宋․高麗․日本 十三世紀の東アジア禪宗-

지눌(知訥)과 도겐(道元): 남송∙고려∙일본 13세기의 동아시아 선종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Construction of a way of reading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普照禪에 대한 眞覺慧諶의 看話禪 僞造

Jingak-Hyesim’s Ganwha-Sŏn(看話禪) Forgery of Bojo-Sŏn(普照禪)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보조 간화선의 성격과 그 현대적 의의

The characteristic of Bojo's Ganhwa-Seon and its modern significance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지눌 수행론의 도덕교육론적 해석과 실천적 함의

An moral subject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Chinul's mind fulfillment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 - 마음의 현상학

Chinul and William James - Phenomenology of Mind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지눌 정혜결사의 근현대적 계승 고찰

A Consideration on Modern Succession of Modern and Contemporory Consideration on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of Chinul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