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ā Medit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Sudden enlightenmentand Gradual enlightenmentin Early Buddhism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九山 秀蓮의 禪사상 : 普照禪의 계승과 관련하여
The Seon Thought of Gusan-Suyeon -Related with the succession of Bojo's Seon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普照知讷禅师禅法略论
보조지눌선사(普照知訥禪師)의 선법약론(禪法略論)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普照国師における教判と行判の形成
보조 국사의 교판과 행판의 형성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2010 |
종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
2010 |
종교학
보조 간화선의 성격과 그 현대적 의의
The characteristic of Bojo's Ganhwa-Seon and its modern significance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왕양명의 ‘良知學’과 도덕직관 함양론
Liang-chi Studies and Moral Intuition Educational Theory of Wang Yang-ming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왕양명의 ‘良知學’과 도덕직관 함양론
Liang-chi Studies and Moral Intuition Educational Theory of Wang Yang-ming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Construction of a way of reading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頓悟漸修의 요가 철학적 성격
The Yoga Philosophic Characteristic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해오(解悟) 문제를 중심으로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and its problem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보조 지눌의 ‘돈오점수론’에 대한 원불교적 관점
The view of Won-Buddhism on the Chinul's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종교교육학연구 |
37 |
2011 |
종교학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On Early Buddhist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인도철학 |
31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