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026

한자 : 僧侶
범어(산스크리트) : samgha

a01-06-01 인간(직업)

활동

수행 (修行)

직업의대상

불교 (佛敎)

직업분류(군)

기타직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선승 [ 禪僧 ]

UF (비우선어)

 

 

승가 (스님) [ 僧伽 ]

UF (비우선어)

 

 

중 (스님) [ 僧 ]

UF (비우선어)

 

 

승 (스님) [ 僧 ]

UF (비우선어)

 

 

스님 [Buddhist monk]

UF (비우선어)

 

 

대사 (스님) [ 大師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성직자 [ 聖職者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승군 [ 僧軍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팔천 [ 八賤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a01-04-03 인간(거주상황)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유학승 [ 遊學僧 ]

hasKind (종류)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고승 [ 高僧 ]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구법승 [ 求法僧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선사 [ 禪師 ]

hasKind (종류)

신분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화승 () [ 畵僧 ]

hasKind (종류)

 

 

승장 () [ 僧匠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환속 [ 還俗 ]

RT_Y (◄관련어)

대상자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비하라 [ 畏訶羅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수계 [ 受戒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범패승 () [ 梵唄僧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호넨 () [ 法然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긍선 () [ 亘璇 ]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慧超 ≪往五天竺國傳≫의 敍事構造와 그 意味

慧超≪往五天竺國傳≫之敍事構造與其意味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慧超 ≪往五天竺國傳≫의 敍事構造와 그 意味

慧超≪往五天竺國傳≫之敍事構造與其意味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高麗時代梵鍾의 發願階層과 鑄鍾匠人

Goryeo Buddhist Temple Bells and Their Patrons and Makers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時代梵鍾의 發願階層과 鑄鍾匠人

Goryeo Buddhist Temple Bells and Their Patrons and Makers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朝鮮時代 士大夫 遊覽의 慣行 硏究

A study on the customary practice of Sadaebu’s(士大夫) travel in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The Meaning of 'Moon' in Hyangga 「Wonwangsaenga」, 「Changiparanga」 and in Poems of Manhae Han Yong-un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불교천태종의 종교교육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Religious Education in Cheontae Order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신라의 度僧 시행

Do-seung's Operation at Silla society

신라사학보 | 19 | 2010 | 역사학

신라의 度僧 시행

Do-seung's Operation at Silla society

신라사학보 | | 19 | 2010 | 역사학

법인당 벽안 대종사의 생애와 종단관

A Study on the life of Beopindang Beokyan Daijongsa and his viewpoints on religious order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

羅末麗初 승려들의 入唐求法과 한중교류

Buddhist Priests’ Seeking Truth in Tang China during Late Silla to Early Goryeo Dynasty and the Trade of Korea and China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羅末麗初 승려들의 入唐求法과 한중교류

Buddhist Priests’ Seeking Truth in Tang China during Late Silla to Early Goryeo Dynasty and the Trade of Korea and China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