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군

연구분야 : A020108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군사사(역사학)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행정/공공기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022

한자 : 僧軍

a02-01 행정/공공기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승병 [ 僧兵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군대 [ 軍隊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승려 [ 僧侶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호국 불교 () [ 護國佛敎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항마군 [ 降魔軍 ]

hasInstance (사례)

 

 

처영 [ 處英 ]

hasInstance (사례)

 

 

영규 [ 靈圭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정 (1544-1610) [ 惟政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휴정 [ 休靜 ]

종교정책을 통해 본 선조 대의 종교지형 변화 ― 불교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about changing of religious terrain in Sun-Jo's season - concentating on buddhism policies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한국 근현대사에서 호국불교의 재검토 - 역사적 사례와 이론 -

Reconsideration of the Patriotic Buddhism in the Korea modern history - Historic example and theory -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의승병(義僧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deological Change Process in Chosun Buddhism ─Focusing on Monk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불교학연구 | 26 | 2010 | 불교학

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의승병(義僧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deological Change Process in Chosun Buddhism ─Focusing on Monk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불교학연구 | 26 | | 2010 | 불교학

17세기 후반 산릉역의 승군 부역노동

The Compulsory Labor of Buddhist Monk Laborers for Construction of Royal Tombs in the Latter Period of 17th Century

지역과 역사 | 28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