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 불교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A081300 인문학 > 불교학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5798

한자 : 護國佛敎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신라 불교 () [ 新羅佛敎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해인사대장경판 (경판) [ 海印寺大藏經板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승군 [ 僧軍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원효 [ 元曉 ]

민주화 운동기(1980∼1994)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in Democratization Period(1980∼1994) and National Power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초기불교 연구

Japanese Studies on Early Silla Buddh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신라사학보 | 19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초기불교 연구

Japanese Studies on Early Silla Buddh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신라사학보 | | 19 | 2010 | 역사학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

"Buddhism's Guarding the Country"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such 'Buddhist Role in Protecting and Saving the Country'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제2장 통일신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Unified Silla(통일신라)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2장 통일신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Unified Silla(통일신라)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한국 근현대사에서 호국불교의 재검토 - 역사적 사례와 이론 -

Reconsideration of the Patriotic Buddhism in the Korea modern history - Historic example and theory -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惟政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Rev. Youjeong's Rescue-the-nation Activities and its Evalu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惟政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Rev. Youjeong's Rescue-the-nation Activities and its Evalu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