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70

한자 : 元曉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아명

 

설서당 [ 薛誓幢 ]

UF (비우선어)

아명

 

설신당 [ 薛新幢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엄장 [ 嚴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수십전유의 [ 數十錢喩義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호국 불교 () [ 護國佛敎 ]

RT (관련어)

 

 

설총 () [薛聰]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교상판석 [ 敎相判釋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금강삼매경 [ 金剛三昧經 ]

고대 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전개

Early Korean Buddhism and Nanto Buddhism in Japan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和諍論 : 불교해석학 연구의 自註, 혹은 補論

Harmonization(Samuccayavāda) between Āgama/Nikaya and Mahāyāna Sūtras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The Vision of Maitreya in an Image from Gamsansa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The Vision of Maitreya in an Image from Gamsansa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한국 불교의 생명⋅생태 사상과 그 실천 운동

Ecological Application of Korean Buddhism and Its Contemporary Practices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한국불교에서 삶의 의미 문제와 인권(人權) -원효와 지눌의 깨달음[覺]개념을 중심으로-

A Meaning of life in the Korean Buddhism and Human Ri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Awakening at Wonhyo(元曉) and Chinul(知訥)-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震黙大師와 儒敎와의 대화

The conversation between Jinmook(震黙) and Confucianism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Neither Monk Nor Layman : Comparative Analysis of Shinran and Wonhyo’s Popularized Buddhism

비승비속(非僧非俗): 신란과 원효의 대중불교에 대한 비교와 분석

日本思想 | 18 | 2010 | 철학

Neither Monk Nor Layman : Comparative Analysis of Shinran and Wonhyo’s Popularized Buddhism

비승비속(非僧非俗): 신란과 원효의 대중불교에 대한 비교와 분석

日本思想 | | 18 | 2010 | 철학

震黙大師와 儒敎와의 대화

The conversation between Jinmook(震黙) and Confucianism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Peculiarities of the Pure Land in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Peculiarities of the Pure Land in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경주 고선사지 가람의 변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Foundation Date and Change of Goseon-sa Buddhist Temple in Gyeongju

대구사학 | 108 | 2012 | 역사학

한국적 다문화교육과 불교

Korea-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義湘의 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on Uisang (義湘)'s Path of Life and His Ideological Chang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Nien(念) and Chiao(覺) i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focused to the texts of Won-hyo(元曉) and Fa tsang(法藏)-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玄奘의 唯識比量 論難에 대한 中觀學的 考察

A Study of the Hyun-Jang's Vijñāptimātra-Anumāna from the View of Indian Madhyamaka Thought

인도철학 | 35 | 2012 | 철학

원효의 화쟁회통 담론범례

A Study on Wonhyo’s Discours Paradigm on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원효의 화쟁회통 담론범례

A Study on Wonhyo’s Discours Paradigm on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

義湘의 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on Uisang (義湘)'s Path of Life and His Ideological Chang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Nien(念) and Chiao(覺) i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focused to the texts of Won-hyo(元曉) and Fa tsang(法藏)-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세계 창조에 관한 세 가지 유형들- ‘가능적인 것’과 ‘잠재성들’ 그리고 ‘여래장’ -

Three Patterns on World-Creation: The Potential, Virtualities, and Tathagatagarbha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梵網經菩薩戒本私記卷上』 元曉 진찬여부 논쟁에 관한 재고

An Investigation into the Authorship of the Beommagyeong-bosalgyebonsagi (梵網經菩薩戒本私記)

한국불교학 | 56 | 2010 | 종교학

『梵網經菩薩戒本私記卷上』 元曉 진찬여부 논쟁에 관한 재고

An Investigation into the Authorship of the Beommagyeong-bosalgyebonsagi (梵網經菩薩戒本私記)

한국불교학 | | 56 | 2010 | 종교학

헤세의 단일성 사상과 유식불교의 여래장 - 소설 『싯다르타』를 중심으로

Hesses Auffassung von ‘Einheit’ und das Alayavijnana des Yogacara-Buddhismus. - Eine Analyse des Romans Siddhartha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다문화와 한국불교의 화쟁사상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Theory of harmonization in Korean Buddhism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다문화와 한국불교의 화쟁사상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Theory of harmonization in Korean Buddhism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무애무無㝵舞 재현 및 가상 무보舞譜 전망 ― 원효元曉의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을 중심으로

A Reproduction of Wonhyo‘s Muaemu based on Sipmunhwajaengron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元曉의 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 『法華宗要』를 중심으로 -

Wonhyo's View of the One Vehicl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Beobhwajongyo

한국사상사학 | 35 | 2010 | 역사학

元曉의 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 『法華宗要』를 중심으로 -

Wonhyo's View of the One Vehicl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Beobhwajongyo

한국사상사학 | | 35 | 2010 | 역사학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

文超의 著述과 元曉 華嚴思想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

An Examination on Wenzhao's Works and the Wonhyo's Influence on Them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신라 및 고려시대 화엄학 문헌의 성격과 내용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the Huayan Literature in Shilla and Koryo Dynasties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신라 및 고려시대 화엄학 문헌의 성격과 내용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the Huayan Literature in Shilla and Koryo Dynasties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참회 수행을 통한 현대인의 불교적 치유 -원효의『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Buddhist Healing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Penitence Practice -Focused on Wonhyo’s Mah y na Six-Emotion Penitenc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교토 고산사소장 원효화상 진영의 현상모사

The Phenomenon Copy of a Portrait of Wonhyo in Kyoto Gosansa Templ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7 | 2011 | 원불교학

元曉“和諍”論與宗密“圓融”說

元曉의 ‘和爭論’과 宗密의 ‘圓融說’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원효의 본각과 여래장

元曉の本覚と如来蔵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교판론과 일승설

A Study on the Doctrinal Classification(敎判) and One vehicle of Wonhyo

동아시아불교문화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교판론과 일승설

A Study on the Doctrinal Classification(敎判) and One vehicle of Wonhyo

동아시아불교문화 |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nhyo's Peace Thought

민족사상 | 6 | 1 | 2012 | 한국정치사상

원효의 본각과 여래장

元曉の本覚と如来蔵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이제설에 대한 고찰-삼론학의 수용과 극복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nhyo’s Two Truths Theory - Focusing on Its Acceptance and Transcendence from the Sanlun Tradition -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원효의 이제설에 대한 고찰-삼론학의 수용과 극복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nhyo’s Two Truths Theory - Focusing on Its Acceptance and Transcendence from the Sanlun Tradition -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

A study of Wonhyo's adaptability in six chapter of 『Keumgang-sammaegyounngron』 and his Buddhist evangelization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

A study of Wonhyo's adaptability in six chapter of 『Keumgang-sammaegyounngron』 and his Buddhist evangelization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원효의 화회(和會) 해석학을 통해 본 종교다원주의 - 종교성의 공동기반과 심층적 대화원리 -

Wonhyo's Hermeneutic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Common Ground of Religiosity and Depth Dialogue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원효의 선(禪)사상 -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

Won-Hyo(元曉,617-686)’s view of Sun(禪)

철학논총 | 68 | 2 | 2012 | 철학

元曉와 王陽明의 障碍論에 관한 비교

元曉と王陽明の障碍論に関する比較

양명학 | 28 | 2011 | 철학

元曉의 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 『法華宗要』를 중심으로 -

Wonhyo's View of the One Vehicl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Beobhwajongyo

한국사상사학 | 35 | 2010 | 역사학

元曉의 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 『法華宗要』를 중심으로 -

Wonhyo's View of the One Vehicl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Beobhwajongyo

한국사상사학 | | 3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