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정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42

한자 : 休靜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서산 휴정

UF (비우선어)

별칭

 

서산 대사 [ 西山大師 ]

UF (비우선어)

별칭

 

휴정 대사 [ 休靜大師 ]

UF (비우선어)

 

현응 [ 玄應 ]

UF (비우선어)

 

청허 [ 淸虛 ]

UF (비우선어)

 

서산 [ 西山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승군 [ 僧軍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수 [ 善修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선문강요집 () [ 禪門綱要集 ]

RT (관련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묘향산 [ 妙香山 ]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The Exchange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Buddhist Society In Joseon Dynasty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용성선사의 선밀쌍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ual practice of Seon Esoteric Buddhism of Yongseong Seon Master

禪文化硏究 | 12 | 2012 | 기타불교학

16-17세기 조선선(朝鮮禪)의 확립에 미친 유불교섭의 영향과 그 의의

The influence and its meaning of negotiation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ffecting on the establishment of Choseon Seon in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조선 禪佛敎의 心性 이해와 마음공부론 -득통 기화의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and mind practice in Korean Zen Buddhism -Focused on the thought of Deuktong-Gihwa around the idea of combination of three religions-

교육학연구 | 50 | 2 | 2012 | 교육학

「儒家龜鑑」을 통해서 본 休靜의 性理學 이해

Hyujeong’s Neo-Confucian Understanding Found from 「Yugagwigam」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서산 휴정의 삼교(三敎)결합의 심성 이해와 마음도야

he formation process of Zu xi's theory of gongfu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Nature and Mind-Training of Combining Three Thoughts in Seosan Huejung(西山 休靜)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