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승

연구분야 : G030106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작가론/화가론

클래스 :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800

한자 : 畵僧
영어 : monks artist

a01-06-01 인간(직업)

직업분류(군)

문화 예술 스포츠전문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화가 [ 畵家 ]

isKindOf (상위 유형)

신분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승려 [ 僧侶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불화 [ 佛畵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홍인 (1610-1663) [ 弘仁 ]

hasInstance (사례)

 

 

팔대산인 (1624-1703) [ 八大山人 ]

고령 반룡사(盤龍寺) 비로자나삼존불좌상

Vairocana Three Seated Buddhist Images in Banryong Temple(盤龍寺), Goryeong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고령 반룡사(盤龍寺) 비로자나삼존불좌상

Vairocana Three Seated Buddhist Images in Banryong Temple(盤龍寺), Goryeong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New Buddhist Painting Trend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hanging Status of Buddhist monk Painters: The Case of Paintings in the Collection of Anyangam

미술사학연구 | 266 | 266 | 2010 | 미술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New Buddhist Painting Trend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hanging Status of Buddhist monk Painters: The Case of Paintings in the Collection of Anyangam

미술사학연구 | 266 | 266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