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4

한자 : 曹溪宗

y06-03 학파/종파명

소재지1

대한민국 (大韓民國)

설립목적_t

종교활동

설립일자_t

13세기 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종파 () [ 宗派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능 [ 慧能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구산선문 [ 九山禪門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송광사 [ 松廣寺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한국 현대 불교 () [ 韓國現代佛敎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구룡사 [ 龜龍寺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월정사 [ 月精寺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마곡사 [ 麻谷寺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선운사 [ 禪雲寺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정토사 [ 淨土寺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법천사 [ 法泉寺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길상사 [ 吉祥寺 ]

RT (관련어)

 

 

태고사 [ 太古寺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법상종 () [ 法相宗 ]

RT (관련어)

 

 

조계종단

RT_X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조계사 [ 曹溪寺 ]

RT_Y (◄관련어)

제정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승려복지법 () [ 僧侶福祉法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천태종 () [ 天台宗 ]

한국 근대불교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근대불교 서술

A Study on the Research of the Korean Modern Buddhism History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禪文化硏究 | 10 | 2011 | 기타불교학

성준선사의 생애와 사상

Life and Philosophy of a Zen Master, Seong-Jun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성준선사의 생애와 사상

Life and Philosophy of a Zen Master, Seong-Jun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정화불교운동(1954-1962): 통합주의와 종파주의의 교차로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1954-1962: Interconnecting Ecumenism and Sectarianism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정화불교운동(1954-1962): 통합주의와 종파주의의 교차로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1954-1962: Interconnecting Ecumenism and Sectarianism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Buddhist School Name and Fou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Age -The Affiliation between Jogye School and Taego Legitimate Origin-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Buddhist School Name and Fou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Age -The Affiliation between Jogye School and Taego Legitimate Origin-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경허 법맥의 전승에 관한 서지학적 검토

The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n the dharma-lineage of Gyeongheo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鄭金烏의 불교정화운동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of Jung Gum-Oh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고려시대 迦智山門의 전개 양상과 불교사적 위상

Development of the Kaji-san Seon-sect(迦智山門) and its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Goryeo era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고려시대 迦智山門의 전개 양상과 불교사적 위상

Development of the Kaji-san Seon-sect(迦智山門) and its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Goryeo era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12세기 초기의 한국 선종 상황과 조계종 성립시기 소고

The Situation of Seon Schools in Korea during the Early 12th Century and Establishment of Jogye Order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대한불교조계종 현행 ‘상단칠정례’ 고찰

A Study on the current ‘Seven bows on ceremonial occasion (七頂禮)’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普照知讷禅师禅法略论

보조지눌선사(普照知訥禪師)의 선법약론(禪法略論)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불교문화유산의 영어 번역 오류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Buddhist Cultural Inheritance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대한불교조계종의 교구본사 사회복지 전달체계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forcement Measures for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of District Head Temples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10.27법난의 역사적 교훈과 사회적 과제

Historical Lesson of 10.27 Dharma Difficulty and Social Task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10.27법난의 역사적 교훈과 사회적 과제

Historical Lesson of 10.27 Dharma Difficulty and Social Task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유교법회(遺敎法會)와 조계종의 오늘

Current Status of the Buddhist ceremony and the Jogye order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유교법회(遺敎法會)와 조계종의 오늘

Current Status of the Buddhist ceremony and the Jogye order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법인당 벽안 대종사의 생애와 종단관

A Study on the life of Beopindang Beokyan Daijongsa and his viewpoints on religious order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 : 민족주의적 역사 기술에 관한 비판

Reconsidering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Buddhism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 : 민족주의적 역사 기술에 관한 비판

Reconsidering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Buddhism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불교조계종의 출가자 현황과 출가 제도의 개선방안

Current state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in Korean Buddhist Jogye Order and improvement suggestion for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system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현대 한국의 간화선:이슈와 분석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불교연구 | 33 | 2010 | 불교학

현대 한국의 간화선:이슈와 분석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불교연구 | | 33 | 2010 | 불교학

‘자성(自省)과 쇄신(刷新) 결사’에 대한 고찰 ─ 성립가능성과 수행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the Association of Self‐Reflection and Renovation: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and Meditational Practice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의 특징과 전망

The Characters and Prospects of Education i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대한불교조계종, 통합종단 50년의 3대사업 성찰 -1962년~2012년의 교육․포교․역경사업에 대한 성과평가를 중심으로-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 Study of the United Order's Three Major Projects Over the Last 50 Years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月庵堂 正大 大宗師의 理事無碍的 삶 硏究

A study on Lisamuae - oriented life of Jungdae Daejongsa in Walamdang(月庵堂)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