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768

한자 : 松廣寺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사찰 (寺刹)

제작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소재지

순천 (順天)

지정호수_t

사적 제506호

지정일자_t

2009-12-21

주소_t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대길상사 [ 大吉祥寺 ]

S:전후

PT (이전명)

 

 

수선사 () [ 修禪社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 공간 공간

삼보사찰 [ 三寶寺刹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한국 사찰 [ 韓國寺刹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제석사 [ 帝釋寺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대한불교 조계종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조계종 () [ 曹溪宗 ]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Jaejo Daejanggyeong andthe meaning of its ‘Oejang’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Jaejo Daejanggyeong andthe meaning of its ‘Oejang’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2010 | 종교학

曉峰의 선사상 -간화선과 돈오점수 및 정혜쌍수를 중심으로-

Hyobong's Seon Thought - Centering around Ganhwa-Se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of Samādhi and Prajña -

보조사상 | 33 | | 2010 | 종교학

17세기 중반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과 늙은 나인 노예성의 발원 -內人 노예성의 발원문을 통하여 본 17세기 조선의 정치사와 나인의 생애사-

An approach of microhistory: the construction of Buddha statue in Songgwangsa temple and the aged court lady, Ro Yesyung's prayer in the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지눌 정혜결사의 근현대적 계승 고찰

A Consideration on Modern Succession of Modern and Contemporory Consideration on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of Chinul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物 調査와 意義

A Study on the wood seated Avalokitesvara of SongKwang-temple in Suncheon

문화사학 | 37 | 2012 | 문화사(역사학)

元 간섭 초기 고려 禪宗界의 변화와 사원 동향 - 주요 선종 사원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change aspects of Seon community and the trend of temples early in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in the Koryeo Period - focusing on the change of Seon school’s main temples -

禪文化硏究 | 12 | 2012 | 기타불교학

수선사 목우가풍과 십우도 비교고찰

A Consideration by comparing the Mokwoogapoong and Ten Oxherding picture at Susun Temple

보조사상 | 38 | 2012 | 종교학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문화재 | 45 | 1 | 2012 | 역사학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A Study on the Site Layout of Songgwangsa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A Study on the Site Layout of Songgwangsa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순천 송광사 자정국사진영(慈靜國師眞影)의 추증고색복원모사(追證古色復原模寫)

Speculative original color restoration copy of rortrait of national caster JaJeong in Suncheon SongGwang-sa Templ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