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패턴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308

STNet ID : 1004638

한자 : 鄕札

e02-02 패턴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자 () [ 文字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차자 표기 () [ 借字表記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석독구결 [ 釋讀口訣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원가 () [ 怨歌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엽집 () [ 萬葉集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광수공양가 [ 廣修供養歌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균여전 [ 均如傳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향가 () [ 鄕歌 ]

한국 고대 지명, 인명이 반영하는 중국어음 시기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향찰 ‘皆’ 해독의 변증

A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e character(皆) in Hyangcha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차자표기 자료의 역주에 대하여

Translation with Notes about The Material of Chajapyogi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차자표기 자료의 역주에 대하여

Translation with Notes about The Material of Chajapyogi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고대국어의 표기 연구 - 우운(于雲) 박병채(朴炳采)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 -

On studies on the ancient Korean writing system by Dr.Park Byeongchae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향찰 ‘(-)頓(-)’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Don(頓)(-)’ in Hyangchal

언어학 연구 | 19 | 2011 | 기타언어학

향찰 ‘皆’ 해독의 변증

A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e character(皆) in Hyangcha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찰 ‘(-)頓(-)’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Don(頓)(-)’ in Hyangchal

언어학 연구 | 19 | 2011 | 기타언어학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With a Focus on Texts Transcribed with Chinese-Borrowed Characters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With a Focus on Texts Transcribed with Chinese-Borrowed Characters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Creation of Idu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Creation of Idu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 동아시아 문학 속의 향가 -향가와 『萬葉集』의 표기법과 歌論 비교를 중심으로-

Hyang-ga in the Context of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focused on Descriptive Method and Theory of Poem of Hyang-ga and Manyoshu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대 동아시아 문학 속의 향가 -향가와 『萬葉集』의 표기법과 歌論 비교를 중심으로-

Hyang-ga in the Context of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focused on Descriptive Method and Theory of Poem of Hyang-ga and Manyoshu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ree Hyangchal(制, 苐, 底)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A Basic Understanding of Hyangga Interpretation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A Basic Understanding of Hyangga Interpretation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ree Hyangchal(制, 苐, 底)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의 한국어 - 역사적 매체 발달에 따른 언어 변화 동인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at Interactive Media Era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