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자 표기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01

STNet ID : 1004841

한자 : 借字表記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자 차용 표기 () [漢字借用表記]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결 [ 口訣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d04-01 기법/방식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두 () [ 吏讀 ]

hasKind (종류)

 

e02-02 패턴 패턴
e02-02 패턴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향찰 [ 鄕札 ]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於’의 훈 ‘늘’과 중세어 ‘늘다’의 의미 해석과 상관성

Interpreting sense of ‘neul(늘)’, Hun(訓) of ‘Eo(於)’ and ‘neul(늘-)’ of Middle Korean and their relationship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지지자료』의 제주 지명(1) - 제주군 신좌면(新左面: 조천읍) 지명을 중심으로 -

The Jeju place name having been used for to a Joseon-Jiji-Jaryo(朝鮮地誌資料) - Around the Jeju-gun Sinjwa-myeon place name -

지명학 | 1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글본 의궤의 어휘적 특징 - ≪뎡니의궤≫와 ≪경뎐진쟉졍례의궤≫를 중심으로 -

Lexical Features of the Korean Version of Uigwe - Focusing on Deongni-Uigwe and Jagyeongjeon-Jinjak - Jeongnye -Uigwe.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차자(借字)표기 방식에 의한 ‘석도=독도’설 입증

Proof of The 'Seokdo=Dokdo' Argument based on the Geographical Designation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4 | 1 | 2012 | 정치외교학

의궤(儀軌)에 나타나는 고유 복식(服飾) 어휘 - 17세기 의궤를 중심으로 -

A transcrib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of an Korean dress and its ornament vocabulary - Centering in Garyedogamuigwe(가례도감의궤) -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궤(儀軌)에 나타나는 고유 복식(服飾) 어휘 - 17세기 의궤를 중심으로 -

A transcrib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of an Korean dress and its ornament vocabulary - Centering in Garyedogamuigwe(가례도감의궤) -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漢字音 舌內入聲韻尾에 대한 考察

The Study of Alveolar Coda of Entering Tone of Sino-Korean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한자 표기 禾의 原始的 意味와 用法에 대하여

韓國漢字表記「禾」原始的意味用法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한자 표기 禾의 原始的 意味와 用法에 대하여

韓國漢字表記「禾」原始的意味用法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부 동상면 호적의 동일인 인명 이표기를 통해 본 차자표기

The Korean Transcriptions with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One Person's Name in the Census Registers of Daegu-Bu Dongsang-Myeon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부 동상면 호적의 동일인 인명 이표기를 통해 본 차자표기

The Korean Transcriptions with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One Person's Name in the Census Registers of Daegu-Bu Dongsang-Myeon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의식과 외래 학문의 영향

The consciousness of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linguistic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의식과 외래 학문의 영향

The consciousness of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linguistic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宴享儀軌의 음식 관련 차자표기 연구

A Study on Food Related Borrowed Characters of Yeonhyang Uigwe in Kyujanggak Archives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借字表記 ‘內’와 鄕歌의 解釋

A Study of Hyang-ga(鄕歌) on the Decipherment of ‘內’ in Hyangchal(鄕札) Script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借字表記 ‘內’와 鄕歌의 解釋

A Study of Hyang-ga(鄕歌) on the Decipherment of ‘內’ in Hyangchal(鄕札) Script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차자표기 자료의 역주에 대하여

Translation with Notes about The Material of Chajapyogi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