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70

STNet ID : 1000147

한자 : 口訣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부점 [ 符點 ]

UF (비우선어)

 

 

현토 [ 懸吐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자 () [ 文字 ]

isKindOf (상위 유형)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기호 [ 記號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차자 표기 () [ 借字表記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독구결 [ 音讀口訣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석독구결 [ 釋讀口訣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점토 구결 [ 点吐口訣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각필 구결 [ 角筆口訣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결문 [ 口訣文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d04-01 기법/방식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두 () [ 吏讀 ]

RT (관련어)

 

 

석의 [ 釋義 ]

RT (관련어)

 

 

[ 吐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훈독 () [ 訓讀 ]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차자표기 자료의 역주에 대하여

Translation with Notes about The Material of Chajapyogi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韩国的文字, 입겿【口诀】

한국의 문자, 입겿[口訣]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合部金光明經 字吐口訣의 誤記

Misprints on Hapbugeumgwangmyeonggyeong Jeomto kugyol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合部金光明經 字吐口訣의 誤記

Misprints on Hapbugeumgwangmyeonggyeong Jeomto kugyol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대국어의 표기 연구 - 우운(于雲) 박병채(朴炳采)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 -

On studies on the ancient Korean writing system by Dr.Park Byeongchae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남대 소장 구결 자료 ‘大慧普覺禪師書’에 대하여

On the Kugyol Material Daehyebogakseonsaseo (大慧普覺禪師書) in the Dongbin(東濱)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한문고전 讀解와 標點- 邯鄲之步와 法古創新의 사이 -

Reading and mark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Between ‘Handanjibo(邯鄲之步)’ and ‘Pepkochangsin(法古創新)’-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內丹 口訣書 고찰 — 「丹書口訣」과 「東國傳道十六訣」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Naedan (内丹) Gugyeolseo (口訣書) in the Chosun Dynasty - Focusing on Danseogygyeol(丹書口訣) and Donggukjeondosipyukgyeol (東國傳道十六訣)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Pre-Imjin Kugyŏl Sources in North American Library Collections: A Preliminary Survey

北美圖書館 所藏 壬亂前 口訣資料 槪觀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Pre-Imjin Kugyŏl Sources in North American Library Collections: A Preliminary Survey

北美圖書館 所藏 壬亂前 口訣資料 槪觀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찰 ‘皆’ 해독의 변증

A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e character(皆) in Hyangcha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