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기법/방식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14

STNet ID : 1000723

한자 : 吏讀
기타 : Idu

d04-01 기법/방식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이투 [ 吏套 ]

UF (비우선어)

 

 

이토 [ 吏吐 ]

UF (비우선어)

 

 

이찰 [ 吏札 ]

UF (비우선어)

 

 

이서 [ 吏書 ]

UF (비우선어)

 

 

이도 () [ 吏道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자 () [ 文字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차자 표기 () [ 借字表記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e02-06 기호/신호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결자 [ 口訣字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결 [ 口訣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향가 () [ 鄕歌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고대 국어 (한국어) [ 古代國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어 () [ 漢字語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훈독 () [ 訓讀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속언해 [ 正俗諺解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설총 () [薛聰]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차자표기 자료의 역주에 대하여

Translation with Notes about The Material of Chajapyogi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고대국어의 표기 연구 - 우운(于雲) 박병채(朴炳采)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 -

On studies on the ancient Korean writing system by Dr.Park Byeongchae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ree Hyangchal(制, 苐, 底)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