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

연구분야 : A1101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어휘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00

STNet ID : 1001005

한자 : 漢字語
영어 : Sino-Korean words
영어 : Sino-Korean word
동의어(UF) : 한자말(漢字--)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순화어 [ 醇化語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 () [ 漢字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d04-01 기법/방식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두 () [ 吏讀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외래어 () [ 外來語 ]

『셩경젼셔』(1911년)에 반영된 번역의 특징들 -레위기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Techniques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1911): An Evalu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 of Leviticus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2 | 2010 | 서양종교

『셩경젼셔』(1911년)에 반영된 번역의 특징들 -레위기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Techniques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1911): An Evalu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 of Leviticus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2 | 2010 | 서양종교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Prolegomena to the research on genesis of determiner in Korean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Prolegomena to the research on genesis of determiner in Korean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분류 어휘집의 ‘사람(人)’ 관련 표제항 연구

A Study on the Head-words in the Categories on Human-beings of Classificatory Glossarie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분류 어휘집의 ‘사람(人)’ 관련 표제항 연구

A Study on the Head-words in the Categories on Human-beings of Classificatory Glossarie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ᄂ첨가에 대한 표준어 규정의 연구

Research of the use of “n”-insertion in standard Korean’s regulation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ᄂ첨가에 대한 표준어 규정의 연구

Research of the use of “n”-insertion in standard Korean’s regulation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形態素 ‘長’의 意味 考察

A Study for the Meaning of Morpheme ‘長’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 어휘와 한국 한자어의 동사 동형동소대등어의 머리자음의 대응관계에 대하여

現代漢語詞彙與韓國漢字詞對比中的動詞同形同素對等語的輔音對應關係硏究

외국어교육연구 | 25 | 1 | 2011 | 외국어교육학

形態素 ‘長’의 意味 考察

A Study for the Meaning of Morpheme ‘長’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단성 호적 인명에 관한 사회 언어학적 고찰

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유성 자음 뒤 경음화의 특성 및 원인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a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Glottalization after Voiced Consonants

동아인문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現代國語使用頻度調査 1․2』를 통해 본 漢字語의 비중 및 漢字의 活用度 조사

Examination how many using compound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by using analysis of Modern Korean words 1, 2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國語使用頻度調査 1․2』를 통해 본 漢字語의 비중 및 漢字의 活用度 조사

Examination how many using compound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by using analysis of Modern Korean words 1, 2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晝永編』의 국어 연구

uyeongpyeon(『晝永編』)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晝永編』의 국어 연구

uyeongpyeon(『晝永編』)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용소, 가마소의 ‘소’와 漢字 ‘沼’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Korean Word ‘소’ and Chinese Word ‘沼’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용소, 가마소의 ‘소’와 漢字 ‘沼’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Korean Word ‘소’ and Chinese Word ‘沼’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瘡疹方撮要』의 同義語 硏究

Synonyms identified in Changjinbangchwalyo (瘡疹方撮要)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日 漢字語 比較 硏究 - 日本 小學校 國語 敎科書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 of Korean and Japanes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日 漢字語 比較 硏究 - 日本 小學校 國語 敎科書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 of Korean and Japanes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文科 語彙 領域의 評價 方向과 實際

The Direction and the Practice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Evalu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한글본 의궤의 어휘적 특징 - ≪뎡니의궤≫와 ≪경뎐진쟉졍례의궤≫를 중심으로 -

Lexical Features of the Korean Version of Uigwe - Focusing on Deongni-Uigwe and Jagyeongjeon-Jinjak - Jeongnye -Uigwe.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학생을 위한 한자어 음가 지도 방안

The Pedagogical Model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Instruction for Chinese Learner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중세 한자 공간의 언어와 문학

Sprache und Literatur im mittelalterlichen Hanseraum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漢文科 語彙 領域의 評價 方向과 實際

The Direction and the Practice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Evalu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한자어 인지와 학습에서 의미투명성의 효과

Semantic Transparency Effects in the Recognition and Learning of Sino-Korean Words

교육심리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的』 に関する日韓比較

[적]에 관한 일한비교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的』 に関する日韓比較

[적]에 관한 일한비교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칠서七書의 언해와 그 국어사적 의의

The translation of Chilseo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문헌 성격에 따른 한자어 수용 양상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data and Korean Loanword from Chinese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스톤本 『隣語大方』의 特異 漢字 表記語 考察 - 韓‧中‧日 言語史資料의 檢討를 通하여 -

A Study of the Peculiar Chinese-origin Word to Aston Version of 'Inodaebang(Ringotaiho)'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AABB형 반복 합성어에 대하여

on the AABB Types of Repetitive Compound Words

언어와언어학 | 52 | 2011 | 언어학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The Joseon Literature-Style Existence Ways of Chinese Characters/Words ― Focusing on Lee Tae-ju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어+하다’류 외래어 형용사의 국어 내 정착 양상 연구 - 한자어, 고유어와의 유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Loan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in the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their synonymic relation with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자어의 표상과 처리에 관한 언어 간 비교 연구: 명명 및 어휘판단

A Cross-Linguistic Study 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Hanja Words: Naming and Lexical Deci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

한자어의 표상과 처리에 관한 언어 간 비교 연구: 명명 및 어휘판단

A Cross-Linguistic Study 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Hanja Words: Naming and Lexical Deci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

海外 韓國語 學習者를 위한 漢字 및 漢字語 敎育方案 -베네치아大學*을 中心으로-

A Study on Korean-Chinese Words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abroad

漢字漢文敎育 | 1 | 28 | 2012 | 한문교육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國語 異種 語彙의 類義的 共存 樣相

A Study on the Synonymous Relation between Allovocabularies in Modern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자어의 표상과 처리에 관한 언어 간 비교 연구: 명명 및 어휘판단

A Cross-Linguistic Study 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Hanja Words: Naming and Lexical Deci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

한자어의 표상과 처리에 관한 언어 간 비교 연구: 명명 및 어휘판단

A Cross-Linguistic Study 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Hanja Words: Naming and Lexical Deci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敎育에 있어서의 漢字 敎育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日本人学習者における韓国漢字語学習 -漢字情報が漢字語推測能力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調査-

Sino-Japanese effect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by Japanese Native learner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瘡疹方撮要』의 同義語 硏究

Synonyms identified in Changjinbangchwalyo (瘡疹方撮要)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과 漢字敎育

Korea HANJA Proficiency Test & HANJA Educ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Based on the Ratio of Pur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Occurr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자어의 변역 어휘 연구 -‘구급방언해’의 어휘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xicon of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For the lexical feature on Korean Version of Kugeupbang-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자의 뜻과 관련된 한자어의 오남용

與漢字的字意相關的韓國漢字語的誤用和濫用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 검토

Critiques of Research in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 검토

Critiques of Research in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의 뜻과 관련된 한자어의 오남용

與漢字的字意相關的韓國漢字語的誤用和濫用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Based on the Ratio of Pur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Occurr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 검토

Critiques of Research in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한글 정보 처리의 연구를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 검토

Critiques of Research in Hangul Information Process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과 漢字敎育

Korea HANJA Proficiency Test & HANJA Educ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ㆍ중ㆍ일 삼국의 ‘的’에 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jeok/de/-teki’ of CJK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고유어 ‘소’와 對應되는 漢字 ‘潭․湫․淵’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hinese Equivalents of Korean Word ‘소’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고유어 ‘소’와 對應되는 漢字 ‘潭․湫․淵’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hinese Equivalents of Korean Word ‘소’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한자 어휘 교육 전략

A Study of the Strategy of Education on Sino-Korean Words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자 어휘 교육 전략

A Study of the Strategy of Education on Sino-Korean Words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漢字語 敎育의 現況과 言語敎育 地平의 擴張 摸索

Addressing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extending the area of language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중국인 學習者 한국어 漢字語 습득 연구

A Study on L2 Acquisition of Korean Hanja Word by Chinese Speaking Learner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國語 漢字語 長短音의 發音 樣相

A Survey of Sound Length of Sino-Korean Words in Modern

國語學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漢字語 敎育의 成果와 과제

Fruits and Tasks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자어 어휘교육 연구 ― 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Educational Research on Sino-Korean word for Chinese Learners ― Focus on Learning Strategy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자어 어휘교육 연구 ― 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Educational Research on Sino-Korean word for Chinese Learners ― Focus on Learning Strategy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한자어 인칭접미사의 사회적 계층성 분석 - 직업성 인칭접미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ersonal suffix of Sino-Korean words in hierarchical characteristic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한자어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이해

韓国語漢字語に対する日本語母語話者の理解

일본어학연구 | 32 | 2011 | 일본어와문학

한자어의 유형 분류 재고: 한중일 한자어의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위한 고찰

A study of the categorization of Chinese chracters ; For the Comparison of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Japanese and Chinese

언어와언어학 | 52 | 2011 | 언어학

술목 구조 VN형 한자어의 논항 실현에 대하여- ‘VN-하다’의 목적어 출현을 중심으로 -

Investigating argument realization of sino-korean words with predicate-object structure

형태론 | 13 | 2 | 2011 | 언어학

漢字語 敎育의 現況과 言語敎育 地平의 擴張 摸索

Addressing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extending the area of language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의식주 범주 어휘의 한·중 대조 분석- 한·중의 공통요소인 한자어를 중심으로 -

A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Fields - Centered on Sino-Korean Words -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식주 범주 어휘의 한·중 대조 분석- 한·중의 공통요소인 한자어를 중심으로 -

A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Fields - Centered on Sino-Korean Words -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어 인칭접미사의 사회적 계층성 분석 - 직업성 인칭접미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ersonal suffix of Sino-Korean words in hierarchical characteristic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한자어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이해

韓国語漢字語に対する日本語母語話者の理解

일본어학연구 | 32 | 2011 | 일본어와문학

중학교 『漢文』 1, 2, 3 교과서에 수록된 語彙의 한자·한문과의 相關性 연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A출판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of Sino‐Korean Words in Middle School Sino‐Korean Textbooks 1, 2 and 3 with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s-Focusing on A publisher’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