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연구분야 : A090800 인문학 > 언어학 > 문자
A120109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국어학 > 중국어사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4

STNet ID : 1000043

한자 : 漢字
영어 : Chinese character
영어 : Chinese characters
중국어 : 汉字
기타 : Hanja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자 () [ 文字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한문 [ 國漢文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의 문자 () [ 表意文字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체자 () [ 異體字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초등 한자 [ 初等漢字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속자 [ 俗字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합체자 [ 合體字 ]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갑골문 [ 甲骨文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간체자 () [ 簡體字 ]

hasKind (종류)

 

 

번체자 () [ 繁體字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배정한자 [ 配定漢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어 () [ 漢字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유니코드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쯔놈 [ 字南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자 교육 () [ 漢字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음 () [ 漢字音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자의 [ 字義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문 교육 () [ 漢文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한문 활자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과두 문자 [ 蝌蚪文字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사성통고 [ 四聲通攷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대사풍송문고 () [ 東大寺諷誦文稿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문 () [ 漢文 ]

RT_Y (◄관련어)

표제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옥편 [ 玉篇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설문해자 [ 說文解字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한역 [ 漢譯 ]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 중학교 1학년 ‘한자’ 영역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예비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Chinese Writing Course Curriculum Amended in 2007 - Mostly referring to 'Chinese characters' spher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of a junior high school -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 중학교 1학년 ‘한자’ 영역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예비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Chinese Writing Course Curriculum Amended in 2007 - Mostly referring to 'Chinese characters' spher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of a junior high school -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능력의 성별 · 세대별 차이 연구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in Lexical Competence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Stroke Sequence, Working Memory and Chinese Reading Ability in Chinese Children”

중국 어린이들에게 있어 필순과 기억이 중국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현행(2007년 개정)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분석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文心雕龍․練字』의 의의 - 한자와 중국문학-

『文心雕龍․練字』的意義 - 漢字與中國文學-

외국학연구 | 19 | 2012 | 기타인문학

이덕무의 중국 문자학 인식

The Study about Lee,Deok-moo(李德懋)’s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이덕무의 중국 문자학 인식

The Study about Lee,Deok-moo(李德懋)’s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개정 교육과정 ‘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 중학교 『한문1』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nces of the middle school 『Sino-Korean1』-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개정 교육과정 ‘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 중학교 『한문1』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nces of the middle school 『Sino-Korean1』-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TÌNH TRẠNG VÀ NHỮNG VẤN ĐỀ CẤP THIẾT CỦA SÁCH CÔNG CỤ HÁN NÔM VIỆT NAM

베트남 한놈공구서의 현황과 시급한 문제들

민족문화 | 38 | 38 | 2011 | 기타인문학

세계 속의 한글의 위상을 위한 몇 가지 고찰 - 외래어 표기를 위한 훈민정음의 능동적인 활용방안-

Quelques réflexions pour un statut des lettres phonémiques coréennes, Hangeul dans le monde -Quelques propositions sur la réutilisation d’anciennes lettres de Hun‑Min‑Jeong‑Eum pour la transcription de langues étrangères-

영상문화 | 15 | 2010 | 학제간연구

유니코드 한자 검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with Chinese Ideographs Search in Unicode and Solutions to Them

정보화정책 | 19 | 3 | 2012 | 사회과학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The Joseon Literature-Style Existence Ways of Chinese Characters/Words ― Focusing on Lee Tae-ju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韓國 漢字敎育硏究의 動向과 課題

Research trends and issues field of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글 정책과 동형 유의 한자어의 번역전략에 관한 통시적 비교 연구 -일본 문학 출판 번역을 중심으로

Diachronic Comparative Study of Hangul(Korean alphabet) Policy and Translation Strategy for the Same Shaped Chinese Characters of Synonym: With Focus on Cases of Japanese Literary Translation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한글 정책과 동형 유의 한자어의 번역전략에 관한 통시적 비교 연구 -일본 문학 출판 번역을 중심으로

Diachronic Comparative Study of Hangul(Korean alphabet) Policy and Translation Strategy for the Same Shaped Chinese Characters of Synonym: With Focus on Cases of Japanese Literary Translation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중세 한자 공간의 언어와 문학

Sprache und Literatur im mittelalterlichen Hanseraum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근대 한어(漢語)와 모던 신어(新語), 개념으로 본 한중일 근대어의 재편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공유의 임계 혹은 시작

From Translation to Transliteration,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Modern Neologism -THE NEW DI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1937), the Limit or Beginning Point of East Asian Intercommunity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한어(漢語)와 모던 신어(新語), 개념으로 본 한중일 근대어의 재편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공유의 임계 혹은 시작

From Translation to Transliteration,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Modern Neologism -THE NEW DI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1937), the Limit or Beginning Point of East Asian Intercommunity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Evaluation System and Its Practices in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s withi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ino-Korean word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初等學校 『漢字』 敎育을 위한 基本語彙·基礎漢字 選定의 方法 硏究

Discussion about selection basic vocabulary by based on chinese character and essential chinese character set for primary school HanJa(漢字) education in Korea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初等學校 『漢字』 敎育을 위한 基本語彙·基礎漢字 選定의 方法 硏究

Discussion about selection basic vocabulary by based on chinese character and essential chinese character set for primary school HanJa(漢字) education in Korea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중세 한자도시의 건축과 예술

Architektur und Kunst der mittelalterlichen Hansestädte

독일언어문학 | 52 | 2011 | 독일어와문학

To Translate or not to Translate: Nouns concerni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통번역학연구 | 16 | 1 | 2012 | 통역번역학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The Comparative Study about polyphone of Korean and Chinese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The Comparative Study about polyphone of Korean and Chinese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의 뜻과 관련된 한자어의 오남용

與漢字的字意相關的韓國漢字語的誤用和濫用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중화주의로서의 유학

Confucianism as Sinocentrism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위한 敎員 養成 方案

A teacher-training scheme fo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위한 敎員 養成 方案

A teacher-training scheme fo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字義의 문제점과 代表字義 선정 방안

A study of problem and suggest new way for select each Chinese character's represent meaning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동방한문학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字義의 문제점과 代表字義 선정 방안

A study of problem and suggest new way for select each Chinese character's represent meaning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동방한문학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ree Hyangchal(制, 苐, 底)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