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음

연구분야 : A1104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자학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72

STNet ID : 1002739

한자 : 漢字音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 () [ 漢字 ]

N1:종류

hasKind (종류)

 

 

한국 한자음 () [ 韓國漢字音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고대 한자음 () [ 古代漢字音 ]

hasKind (종류)

 

 

일본 한자음 () [ 日本漢字音 ]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A Study for comparing ‘-矣/-衣’, ‘-希’, ‘-未’ with the transcriptions of that in Hyang-ga.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A Study for comparing ‘-矣/-衣’, ‘-希’, ‘-未’ with the transcriptions of that in Hyang-ga.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晝永編』의 국어 연구

uyeongpyeon(『晝永編』)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晝永編』의 국어 연구

uyeongpyeon(『晝永編』)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의 서지와 한자음에 대하여

The study of the bibliography and the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about 「Bulseolgwangbondaesegyeong」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朝鮮光文會 편찬 「新字典」의 體裁, 漢字音, 뜻풀이

Format, Sino-Korean, and Translation Meaning Written in Chinese into Korean of Sinjajeon that was Published by Joseon Gwangmunhoe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華東正音通釋韻考≫의 通攝 硏究

≪華東正音通釋韻考≫’s Tong rhyme classes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華東正音通釋韻考≫의 通攝 硏究

≪華東正音通釋韻考≫’s Tong rhyme classes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자전석요(字典釋要)』의 체재상의 특징과 언어적 특징

Formationl characters and linguistic character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鄕札 表記字 漢字音 硏究의 回顧와 展望

鄕札表記字漢字音研究の回顧と展望

구결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日本地名의 表記에 대하여― 『海行摠載』收錄 4개 記錄의 경우―

“Haehaengchongjae” written in Japanese about the transliteration.-Voiced consonant and ‘tsi/tsu’ of notation changes-

일어일문학연구 | 72 | 1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本地名의 表記에 대하여― 『海行摠載』收錄 4개 記錄의 경우―

“Haehaengchongjae” written in Japanese about the transliteration.-Voiced consonant and ‘tsi/tsu’ of notation changes-

일어일문학연구 | 72 | 1 | 2010 | 일본어와문학

止攝 漢字音에 대한 韓日 對比硏究

A Contrast study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in Chi-seop

일본어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韓國漢字音 舌內入聲韻尾에 대한 考察

The Study of Alveolar Coda of Entering Tone of Sino-Korean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抄物における漢字音と先学の説―玉塵抄と詩学大成抄を中心に―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View of Zengaku in Shomono

日本語敎育 | 54 | 2010 | 일본어와문학

抄物における漢字音と先学の説―玉塵抄と詩学大成抄を中心に―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View of Zengaku in Shomono

日本語敎育 | | 54 | 2010 | 일본어와문학

止攝 漢字音에 대한 韓日 對比硏究

A Contrast study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in Chi-seop

일본어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中國上古音系 日本漢字音에 대한 연구 -魚部의 漢字音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 80 | 1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