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64

STNet ID : 1000998

한자 : 漢文
영어 : Chinese classics
영어 : Classical Chinese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한문 비평 [ 漢文批評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자 교육 () [ 漢字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사(辭) () [ 辭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 () [ 漢字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언해 () [ 諺解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대사풍송문고 () [ 東大寺諷誦文稿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산문 [ 漢文散文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문 교육 () [ 漢文敎育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석독구결 [ 釋讀口訣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김장군전 [ 金將軍傳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청구야담 [ 靑丘野談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현학금보 [ 玄鶴琴譜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소설 () [ 漢文小說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시 () [ 漢詩 ]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식의 증언 - 『텬로력뎡』 飜譯과 19世紀末 朝鮮語文의 傳統들

The Testimony of the Printing Form —The Translation of Tyeonroryukjeong(1895) and the Traditions of Korean Language in the late 19th Century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漢文脈의 이미저리, 『大韓民報』(1909∼1910) 漫評의 알레고리 읽기 - 1909년 연재분을 중심으로

The Imagery of the Sinographic Context, a Allegoric Reading of the Satirical Cartoons of Daehanminbo(大韓民報)(1909∼1010) ― Focusing on the 1909 series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經書類 언해에 대한 사대부 기록의 양상 - 해석적 오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spect of Sadaebu(士大夫) Record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in Late Joseon Period - Centering on Recognition of Analytical Error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모란의 중국 표상:고대 동아시아의 모란 문학 비교연구

The Peony and his/her Representation of China in Ancient East Asia

Journal of korean Culture | 20 | 2012 | 현대시(국문학)

개정 7차 한문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에 나타난 어학적 서술 비교 분석

중국인문과학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개정 7차 한문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에 나타난 어학적 서술 비교 분석

중국인문과학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Diglossia of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language in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Han-Si) and Korean songs(Si-Jo)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韓國 漢字敎育硏究의 動向과 課題

Research trends and issues field of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東亞細亞 三國의 大學入試 漢文 試驗 比較 考察

The Comparative Study “Chinese Characters test” question in University Entrance Exam test on Korea, China and Japan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義理와 眞理의 互換性 구축을 위한 방안 모색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Compatibility of Loyalty and Truth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언어적 실천의 문제

The Ve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Lyr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Sahang-Gas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언어적 실천의 문제

The Ve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Lyr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Sahang-Gas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均如鄕歌 解讀을 위한 漢文 資料의 體系的 對照와 巨視的 接近

均如郷歌解読のための漢文資料の体系的対照と巨視的アプローチ

구결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위한 敎員 養成 方案

A teacher-training scheme fo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위한 敎員 養成 方案

A teacher-training scheme fo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均如鄕歌 解讀을 위한 漢文 資料의 體系的 對照와 巨視的 接近

均如郷歌解読のための漢文資料の体系的対照と巨視的アプローチ

구결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大學 漢字 敎育의 必要性과 改善策

The Importance and the Improvement abou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University

중국문화연구 | 16 | 2010 | 중국문화학

大學 漢字 敎育의 必要性과 改善策

The Importance and the Improvement abou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University

중국문화연구 | | 16 | 2010 | 중국문화학

한문과 교육에서 문학산문의 수준과 범위

The level and range of literary prose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문에서의 문장의 경계

Sentence Boundaries in Classical Chinese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문과 학교문법서의 서술 방향 모색 -2007 개정교육과정 중고등학교 해설서(한문)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A Grope for the Direction of a Future School Grammar Text i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Focusing on Education Example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