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연구분야 : A1104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시
A120202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 중국시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2

STNet ID : 1000042

한자 : 漢詩
영어 : chinese poem
영어 : Classical Chinese poetry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선비 정신 () [ --精神 ]

S:동의

UF (비우선어)

 

 

한시체 [ 漢詩體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잡체시 [ 雜體詩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한국 한시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악부 [ 樂府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2 패턴 패턴

압운 [ 押韻 ]

hasPhenomenon (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변개 [ 變改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기승전결 [ 起承轉結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육언 [ 六言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문 () [ 漢文 ]

isAppliedTo (적용 대상)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고저율 [ 高低律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와카 () [ 和歌 ]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of selection of poetic genre and writing system of ‘Taegeukhakbo’ in 1900’s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海上錄』과 『丁酉避亂記』硏究 -일본풍물 및 일본인 인식과 선비精神 중심으로-

Study of “Haesangrok” and “Jeongyupirangi”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한시에 나타난 인어 상징물 고찰

A study on the mermaid's symbol of Korean Chinese Poetry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한시에 나타난 인어 상징물 고찰

A study on the mermaid's symbol of Korean Chinese Poetry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韓國時調大事典』을 중심으로-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瀟灑園 初期 詩壇의 漢詩 一考

The Consideration of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Chinese Poetry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석중옥기연록> 연구

A Study on the Sukjungokgiyeonrok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석중옥기연록> 연구

A Study on the Sukjungokgiyeonrok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Changhae Choe Ik-hwan as a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Poetic Situation of Isangkok and Its Interpretation Logic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求禮 石柱關七義士에 대한 追慕詩文 考察

The study of the cherished Chinese poetry on seven loyal soldiers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漢代初期 儒學에 대한 硏究 - 詩經을 중심으로 -

<中文摘要>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漢代初期 儒學에 대한 硏究 - 詩經을 중심으로 -

<中文摘要>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漢代 琅邪郡의 儒學 전통과 王吉의 역할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The Role of Wang Ji in Langye ommandery during The Han-Dynasty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조 규방시인의 신분적 특성 및 한시세계

The Literary Status of Women Poets and Their Literary Field of Chinese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고한음 성조와 『소학언해』에 나타난 우리말 한자 형태소 성조의 비교

A Comparison of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Tones of Medieval Chinese Characters and Side-dot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So-hak-on-hae

한글 | 297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운초(金雲楚)와 류여시(柳如是)한시 표현수법의 비교연구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金云楚与柳如是汉诗表现手法比较研究 -以色彩词、典故和历史人物为中心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jo Translating Hansi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jo Translating Hansi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石洲 李相龍의 漢詩 硏究

A study of Seog-ju(石州) Lee Sang-ryong(李相龍)’s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Diglossia of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language in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Han-Si) and Korean songs(Si-Jo)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대종경에 실린 한시문 연구 -작가의 문체와 개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Chinese Poetry Literature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 -Centered on Writer’s Style and Natur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대종경에 실린 한시문 연구 -작가의 문체와 개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Chinese Poetry Literature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 -Centered on Writer’s Style and Natur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일본 상대문학(上代文學)에 나타난 유배(流配) 고찰 -이소노 가미노 오토마로(石上乙麻呂) 관련 한시(漢詩)・와카(和歌)를 통하여-  

上代文学に見る「配流」考察  -石上乙麻呂関連漢詩・和歌からー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高麗 茶詩에 나타난 脫俗과 養生의 美學

A Study on Korea Poetry of Tea Up To the Period of Koryo Dynasty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 茶詩에 나타난 脫俗과 養生의 美學

A Study on Korea Poetry of Tea Up To the Period of Koryo Dynasty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난 주제 한시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for the disaster and literary figuration of Korean Chinese poem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try and Sijo written by Hwang Jini - focused on rhetorical characteristic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시에 수용된 ‘그네’의 미의식 고찰 - 고려 후기에서 조선 후기까지의 한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Swing Accepted in Chinese Poetry - Around Chinese Poetry Written from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to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