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개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99

STNet ID : 9001199

한자 : 變改
영어 : chang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매체적 변개

hasKind (종류)

 

 

구비적 변개

hasKind (종류)

 

 

서사변개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 [ 言語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시 () [ 漢詩 ]

RT (관련어)

 

 

변경 (바꿈) [ 變更 ]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quotation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ongnamjapji(松南雜識)'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eonghosaseol(星湖僿說)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