雲溪 金鍾正 尙書論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gye(雲溪) Kim Jong-jeong(金鍾正)'s Commentary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尙書)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雲溪 金鍾正 尙書論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gye(雲溪) Kim Jong-jeong(金鍾正)'s Commentary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尙書)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關于退溪的 『書釋義』 硏究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關于退溪的 『書釋義』 硏究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문헌 성격에 따른 한자어 수용 양상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data and Korean Loanword from Chinese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중세 한국어 인용문 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quotation sentences in middle ages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중세 한국어 언해문의 인용문 구조에 대한 한문 번역적 해석
A study abou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quotation sentences in middle ages in the view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문헌 성격에 따른 한자어 수용 양상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data and Korean Loanword from Chinese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茅屋爲秋風所破歌> 수사법 연구 - 원문과 언해문 비교를 중심으로 -
<茅屋爲秋風所破歌>修辭格硏究 - 從原文與譯文比較的視角 -
중국학연구 |
60 |
2012 |
중국어와문학
한문고전 讀解와 標點- 邯鄲之步와 法古創新의 사이 -
Reading and mark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Between ‘Handanjibo(邯鄲之步)’ and ‘Pepkochangsin(法古創新)’-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한국에서의 번역 개념의 역사
History of the Concept of Translation in Korea: Exploration of the Word ‘飜譯’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통번역학연구 |
15 |
2011 |
통역번역학
한문고전 번역을 위한 원어(原語) 분석과 번역어 선택의 문제
The Problems in the analysis on original language and choice of translated vocabulary for translation of classical literatures in Chinese Character.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Status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Eonhae project in Early age of Ch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A Study o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A Study o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經書類 언해에 대한 사대부 기록의 양상 - 해석적 오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spect of Sadaebu(士大夫) Record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in Late Joseon Period - Centering on Recognition of Analytical Error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漢文讀法의 韓國的 特殊性 -句讀, 懸吐, 口訣-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on the way of reading for Chinese characters -Punctuation, Commentary, Annot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
Cultural Significance of Vernacular Translation Project in Early J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조선 후기 經書類 언해에 대한 사대부 기록의 양상 - 해석적 오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spect of Sadaebu(士大夫) Record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in Late Joseon Period - Centering on Recognition of Analytical Error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