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화어

연구분야 : A1101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의미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7917

한자 : 醇化語
영어 : refined word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자어 () [ 漢字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외래어 수용 [ 外來語受容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령용어순화 [ 法令用語醇化 ]

군내 용어순화를 위한 외래어 연구

A Study of the Loanwords for refinement in Military

한국군사학논집 | 67 | 1 | 2011 | 군사이론

영어+하다’류 외래어 형용사의 국어 내 정착 양상 연구 - 한자어, 고유어와의 유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Loan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in the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their synonymic relation with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순화어의 형태의미론적 고찰 -국민 참여형 순화어 299개를 중심으로-

Morphosemantic study of refined words -focusing on 299 refined words by netizen-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