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史 硏究에 있어 口訣資料의 寄與에 대하여
韓國語史研究口訣資料寄与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語史 硏究에 있어 口訣資料의 寄與에 대하여
韓國語史研究口訣資料寄与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령형 종결어미의 역사적 변화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Imperative Final-endings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
기초어 凸의 음운·어형 변화 -[어]계를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Phoneme and Word Form on a Root Word 凸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p/, /m/ 교체의 허실과 향가 執音乎에 대하여
The truth of interchange /p/, /m/ and On Hyangga ‘執音乎'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대국어의 음운 - 박병채(1971)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phonological studies of the ancient Korea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釋讀口訣에 나타난 ‘-은여/을여’에 대하여
A study on ‘-eunyeo’, ‘-eulyeo’ in Seokdokkugyol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기능
The Semantic Function of Verbal Negatives in Point-attached Seokdok-kugyol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A Survey of the Studies on Ancient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
The Nominative case-form in Ancient Korean and its phonological interpretation - In connection with Middle Korean based on Hyang-Ga -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처격 ‘애’, ‘에’의 생성 원인 고찰 - 고대 및 중세국어의 ‘’, ‘의’의 실현 양상을 토대로 -
The study on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locative cases ‘애(aj)’ and ‘에(əj)’ - Based on the realized aspects of ‘(ʌj)’ and ‘의(ɨj)’ in Ancient and Middle Korea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국어의 표기 연구 - 우운(于雲) 박병채(朴炳采)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 -
On studies on the ancient Korean writing system by Dr.Park Byeongchae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