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토

연구분야 : A120107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국어학 > 일반문자학(중국어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694

한자 : 懸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결 [ 口訣 ]

한문고전 讀解와 標點- 邯鄲之步와 法古創新의 사이 -

Reading and mark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Between ‘Handanjibo(邯鄲之步)’ and ‘Pepkochangsin(法古創新)’-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한문고전 번역을 위한 원어(原語) 분석과 번역어 선택의 문제

The Problems in the analysis on original language and choice of translated vocabulary for translation of classical literatures in Chinese Character.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 연구

A Study on Mistranslation Aspects of Learner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 연구

A Study on Mistranslation Aspects of Learner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한문번역의 측면에서 바라본 표점과 현토의 차이 -고리점을 중심으로-

On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punctuation and Korean Hyeonto ― Mostly referring to period ―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