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747

한자 : 梵魚寺
영어 : Beomeo Temple

Y04 기념물명(문화재)

유형/장르

사찰 (寺刹)

제작자

의상 (義湘)

제작시대

신라 시대 (新羅時代)

소재지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주소_t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

제작(설립)년도_t

678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화엄십찰 [ 華嚴十刹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범어사 창건사적 [ 梵魚寺 創建事蹟 ]

RT (관련어)

간행처/서적

y02-01 문헌명 문헌명

선문촬요 [ 禪門撮要 ]

RT (관련어)

사찰/창건 기록

 

신승동국여지승람

RT_X (관련어►)

주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하동산 [ 河東山 ]

광덕사상, 그 연원의 시론적 소묘

A Study on Gwangdeok's Thought, an Initial Drawing of the Origi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광덕사상, 그 연원의 시론적 소묘

A Study on Gwangdeok's Thought, an Initial Drawing of the Origi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범어사 소장 『三國遺事』의 자료적 가치

On the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of the Sections of Samgukyusa in Beomeo Temple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범어사 소장 『三國遺事』의 자료적 가치

On the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of the Sections of Samgukyusa in Beomeo Temple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寺刹契

A Study on a Buddhist temple service and Temple Fraternities in Late Chosun Dynasty

禪學(선학) | 28 | 2011 | 응용불교학

오성월의 삶에 투영된 禪과 民族意識

Se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Reflecting on Master Oh Sung-wol's Lif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오성월의 삶에 투영된 禪과 民族意識

Se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Reflecting on Master Oh Sung-wol's Lif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