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460

STNet ID : 1002787

한자 : 處容歌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향가 () [ 鄕歌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려가요 () [ 高麗歌謠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팔구체 () [ 八句體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처용단장 () [ 處容斷章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잡처용 [ 雜處容 ]

RT (관련어)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처용 [ 處容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정읍사 [ 井邑詞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소그드 [sogd]

鄕歌 文學의 呪術的 性格 硏究

A Study on Enchanting Characteristics of Hyangga

남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鄕歌 文學의 呪術的 性格 硏究

A Study on Enchanting Characteristics of Hyangga

남도문화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asks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arody of Classical Poetry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삼각관계의 노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s Song of Love - Korean and Japanese Cas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삼각관계의 노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s Song of Love - Korean and Japanese Cas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asks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arody of Classical Poetry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삼각관계의 노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s Song of Love - Korean and Japanese Cas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삼각관계의 노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s Song of Love - Korean and Japanese Cas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고려 <處容歌>의 담론 특성과 그 미학적 함의

A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in <處容歌> and its Aesthetical Implication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담론 특성과 그 미학적 함의

A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in <處容歌> and its Aesthetical Implication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처용가의 감각

Senses of Cheoyong-Ga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巫歌的 성격에 대한 再考

The reconsideration about Goryeo's 'Cheoyongga' as a shamanistic song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소재 <處容歌>의 高麗的 어휘 요소와 그 示唆에 關하여

The Formative Period of Chǒyongga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소재 <處容歌>의 高麗的 어휘 요소와 그 示唆에 關하여

The Formative Period of Chǒyongga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