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단장

연구분야 :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411

STNet ID : 9002006

한자 : 處容斷章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처용 설화 () [ 處容說話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처용가 [ 處容歌 ]

RT (관련어)

 

 

처용삼장

RT (관련어)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처용 [ 處容 ]

RT (관련어)

 

 

잠자는 처용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미지즘 [imagism]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콜라주 [collage]

‘처용신화’를 재구성하는 현대적 異本考 - 김춘수의 「처용단장」연구

Modern text ‘Cheoyong myth’ to reconstruct - The study on Kim Ch’un-su’s 「Cheoyong-literary fragmen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처용단장」에 나타난 시간의식

A Time-Consciousness in Kim Choon-Soo's 「Cheoyongdanja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Che-yong’, As A Topic And The Language of ‘Exorcism’ -A New Interpretation on Insignificant Poetics of Kim Choonsoo-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Che-yong’, As A Topic And The Language of ‘Exorcism’ -A New Interpretation on Insignificant Poetics of Kim Choonsoo-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소설적 기법, 장치, 인물의 심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Kim So Jin's 「Cheo Yong Dan Jang」 - Centering on novelistic techniques, devices and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소설적 기법, 장치, 인물의 심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Kim So Jin's 「Cheo Yong Dan Jang」 - Centering on novelistic techniques, devices and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