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

연구분야 : A1104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426

STNet ID : 1005231

한자 : 典故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인용 () [ 引用 ]

RT (관련어)

 

 

환골탈태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용사 [ 用事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시가 [ 古典詩歌 ]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 산문의 서술방식 연구

A study on narrative style of Jejeng(霽亭) Lee dalchung(李達衷)’s prose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운초(金雲楚)와 류여시(柳如是)한시 표현수법의 비교연구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金云楚与柳如是汉诗表现手法比较研究 -以色彩词、典故和历史人物为中心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화기 시가의 전고(典故)와 관습적 수사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Allusion and Conventional Expression in the Poetry of the Enlightened Period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The Study on the Dynamics between Reading and authentic precedents of Korean Long Piece Novel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The Study on the Dynamics between Reading and authentic precedents of Korean Long Piece Novel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