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

연구분야 : A041701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한국종교일반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061

STNet ID : 1003050

한자 : 天符經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경전 () [ 經典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종교 () [ 大倧敎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일신고 () [ 三一神誥 ]

동서 교섭의 관점에서 본 대종교의 몸과 마음 이해

Daejonggyo’s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in the Context of the East-West Encounter

종교연구 | 67 | 2012 | 종교학

한민족의 上古代인 한국[桓國]의 國統의 확립과 세계적인 國敎의 정립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of Hanguk of Korean Ancient Nation and Development of World‐Class National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풍물 굿 장단에서 박의 리듬구조와 수리체계 ―천부경의 삼재사상과 연관 지워

A Rhythm Structure and Mathematic System of Beat in the Pungmul Gut Jangdan ―Associated with the Samjae Thought of Chunbugyeong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三一神誥』의 ‘天’에 대한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 of ‘Heaven’[天] in Samilshingo[三一神誥]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권덕규의 단군 천부경 연구

權德奎的檀君天符經研究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 -桓易사상을 중심으로-

擲柶之起源問題及柶枰圖之哲學的意味 -以桓易思想爲中心-

仙道文化 | 8 | 2010 | 기타철학일반

한웅(桓雄)의 우리 사상형성과 효교육문화의 전개

Formation of Hwanwoong Gubalhwan's Our National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Filial Duty Educational Culture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웅(桓雄)의 우리 사상형성과 효교육문화의 전개

Formation of Hwanwoong Gubalhwan's Our National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Filial Duty Educational Culture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천부수리로 본 여가의 구조

A Study on the Framework of Leisure System in the Principle of Cheonbu Mathematics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천부수리로 본 여가의 구조

A Study on the Framework of Leisure System in the Principle of Cheonbu Mathematics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최치원의「난랑비서」의 해석의 여러 쟁점 : 풍류의 현묘지도(玄妙之道)와 천지인 묘합의 삼재지도(三才之道)

Issues of interpretation on the Rhan-Lang-Bi-Seo「 鸞郞碑序」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 음성수련법

‘Ah’ Sound Vocalization Practice Viewing through the Principle of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韓國仙道 本體論 硏究에 대한 試論 -『天符經』과 『三一誥』를 중심으로-

The Trial Study on Korean Sundo(仙道) Ontology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韓國仙道 本體論 硏究에 대한 試論 -『天符經』과 『三一誥』를 중심으로-

The Trial Study on Korean Sundo(仙道) Ontology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최치원과 천부경

Choi, Chi Won’s Cheonbugyeong Interpretatio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天符經』 수용과 근대 지식인들의 이해

The Acceptance of Cheonbugyeong and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in modern times

남북문화예술연구 | 9 | 2011 | 기타예술일반

≪天符經≫中所見道家道教思想

「천부경」에 보이는 도가 도교 사상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