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신고

연구분야 : A041200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자생종교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921

STNet ID : 1003226

한자 : 三一神誥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종교 () [ 大倧敎 ]

RT (관련어)

 

 

신사기 [ 神事記 ]

RT (관련어)

 

 

팔리훈 [ 八理訓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천부경 () [ 天符經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립중앙도서관 () [ 國立中央圖書館 ]

동서 교섭의 관점에서 본 대종교의 몸과 마음 이해

Daejonggyo’s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in the Context of the East-West Encounter

종교연구 | 67 | 2012 | 종교학

한웅(桓雄)의 우리 사상형성과 효교육문화의 전개

Formation of Hwanwoong Gubalhwan's Our National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Filial Duty Educational Culture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웅(桓雄)의 우리 사상형성과 효교육문화의 전개

Formation of Hwanwoong Gubalhwan's Our National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Filial Duty Educational Culture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仙道 本體論 硏究에 대한 試論 -『天符經』과 『三一誥』를 중심으로-

The Trial Study on Korean Sundo(仙道) Ontology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韓國仙道 本體論 硏究에 대한 試論 -『天符經』과 『三一誥』를 중심으로-

The Trial Study on Korean Sundo(仙道) Ontology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 음성수련법

‘Ah’ Sound Vocalization Practice Viewing through the Principle of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환단고기』와 『삼일신고』

『Whuandangogi』(桓丹古記) and 『Samilshingo』(三一神誥)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환단고기』와 『삼일신고』

『Whuandangogi』(桓丹古記) and 『Samilshingo』(三一神誥)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三一神誥』에 나타난 韓國 仙道의 修行法

The rule on training of Korean Sun-Do viewing through『Sam-Il-Sin-Go』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三一神誥』에 나타난 韓國 仙道의 修行法

The rule on training of Korean Sun-Do viewing through『Sam-Il-Sin-Go』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삼일신고의 신관에 관한 철학적 연구

The Philosophical Study on God of Samilshingo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三一神誥』의 ‘天’에 대한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 of ‘Heaven’[天] in Samilshingo[三一神誥]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한국선도(韓國仙道)의 지감(止感)ㆍ조식(調息)ㆍ금촉(禁觸)에 관한 小考

A Study Regarding JiGam(止感)ㆍJoShik(調息)ㆍKeumChok(禁觸) in the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