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규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203

STNet ID : 1003061

한자 : 鄭載圭

y01-01 실존인물

직업

유학자 (儒學者)

생몰년_t

1843-1911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후윤 [ 厚允 ]

UF (비우선어)

 

영오 [ 英五 ]

UF (비우선어)

 

애산 [ 艾山 ]

UF (비우선어)

 

노백헌 [ 老柏軒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노사학파 () [ 蘆沙學派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기정진 () [ 奇正鎭 ]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The Rise of Nohsa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Region and Nohsa's Disciple Jeong Jae Gyu's Role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What is the ‘Mind is principle’ theory of Neo-Confucianist Choe Suk-min(崔琡民)?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What is the ‘Mind is principle’ theory of Neo-Confucianist Choe Suk-min(崔琡民)?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交遊와 학술 토론

Choi Sook Min's companionship and academic discussion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溪南 崔琡民의 交遊와 학술 토론

Choi Sook Min's companionship and academic discussion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