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진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

STNet ID : 1000002

한자 : 奇正鎭
호(號) : 노사(蘆沙)
시호(諡號) : 문간(文簡)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대중 [ 大中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위정척사파 () [ 衛正斥邪派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기우만 [ 奇宇萬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성가 [ 趙性家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숙민 () [ 崔淑民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재규 [ 鄭載圭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노사학파 () [ 蘆沙學派 ]

RT (관련어)

서문작성자

y02-01 문헌명 문헌명

미암집 [ 眉巖集 ]

조선후기 미발논의의 전개양상과 수양론의 제반유형

朝鲜后期未发论的展开样态与修养论的诸多类型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19세기 畿湖學界의 學說分化와 論爭

Division of Ki-ho Theory and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19세기 畿湖學界의 學說分化와 論爭

Division of Ki-ho Theory and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19세기 畿湖學界의 學說分化와 論爭

Division of Ki-ho Theory and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19세기 畿湖學界의 學說分化와 論爭

Division of Ki-ho Theory and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松山 權載奎의 蘆沙學 繼承과 嶺南地域에서의 活動

Songsan Gwon Jae Gyu's Succession of Nohsa Discipline and His Pursuits In the Yeongnam Region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탁류>와 <낙타상자>의 심리표현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in and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夷川 南昌熙의 生涯와 學問

The Life And Study of Yi-Cheon Nam Chang Hui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sa-school's Successional Appearance for the Nammyoung-school,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sa-school's Successional Appearance for the Nammyoung-school,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老柏軒 鄭載圭의 삶과 학문 -강우지역에서의 노사학 계승 및 확산을 중심으로 -

Life and Study of Nobaekheon Jeong Jae-Gyu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老柏軒 鄭載圭의 삶과 학문 -강우지역에서의 노사학 계승 및 확산을 중심으로 -

Life and Study of Nobaekheon Jeong Jae-Gyu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韓末 畿湖學界와 蘆沙 奇正鎭의 학문 활동

Kiho school and Ki Jung-jin's Academic Activities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韓末 畿湖學界와 蘆沙 奇正鎭의 학문 활동

Kiho school and Ki Jung-jin's Academic Activities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交遊와 학술 토론

Choi Sook Min's companionship and academic discussion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溪南 崔琡民의 交遊와 학술 토론

Choi Sook Min's companionship and academic discussion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月皐 趙性家의 學者的 生平과 詩의 特性

The Study of Academic Career and His Poets of Weolgo Cho Sungga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月皐 趙性家의 學者的 生平과 詩의 特性

The Study of Academic Career and His Poets of Weolgo Cho Sungga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What is the ‘Mind is principle’ theory of Neo-Confucianist Choe Suk-min(崔琡民)?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What is the ‘Mind is principle’ theory of Neo-Confucianist Choe Suk-min(崔琡民)?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性理思想 - 理氣論과 心性論을 통해서 본 哲學史的 좌표

Chio Suk-min's Neo-Confucianism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性理思想 - 理氣論과 心性論을 통해서 본 哲學史的 좌표

Chio Suk-min's Neo-Confucianism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月皐 趙性家의 시인적 면모에 대하여

A study on Cho Seong-ga's appearance as a poet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月皐 趙性家의 시인적 면모에 대하여

A study on Cho Seong-ga's appearance as a poet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The Rise of Nohsa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Region and Nohsa's Disciple Jeong Jae Gyu's Role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奇正鎭의 「納凉私議」를 둘러싼 畿湖學界의 論爭

Kiho school's debates on Ki Jung-jin's Napryangsaeui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奇正鎭의 「納凉私議」를 둘러싼 畿湖學界의 論爭

Kiho school's debates on Ki Jung-jin's Napryangsaeui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The Rise of Nohsa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Region and Nohsa's Disciple Jeong Jae Gyu's Role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