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기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444

STNet ID : 1003078

한자 : 李秉岐
호(號) : 가람(嘉藍)
기타 : Lee Byeong-Gi
동의어(UF) : 가람 이병기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문학가동맹 [ 朝鮮文學家同盟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a01-04 인간(사회집단) / Y06 기관/단체명 기관/단체명

문장파 () [ 文章派 ]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시조론 형성과정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ijo Theory in 1920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시조론 형성과정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ijo Theory in 1920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

A Study on Hometown Consciousness of Park Byeong-soon’s Sij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Changhae Choe Ik-hwan as a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비평의 탄생 : 가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The Birth of a Criticism o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