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꽃

연구분야 :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362

STNet ID : 1003166

한자 :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김소월 (金素月)

장르/유형

시(詩) (詩)

저작년_t

192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요시 [ 民謠詩 ]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상호텍스트성 () [ 相互--性 ]

RT_Y (◄관련어)

관련 작품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산유화 [ 山有花 ]

감성 메커니즘으로서의 ‘哀而不悲’ - 서정시의 계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Aeibulbi as the sensitive mechan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변가>와 <진달래꽃>의 상호텍스트적 양상과 의미

Intertextual Aspects and Meanings of Yeongbyeon-ga and Jindalekkot(Azaleas)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김소월 시의 서도성과 근대성-「진달래꽃」 「초혼」과 서도민요 ≪영변가≫ ≪제전≫의 비교 분석-

Kim So-wol' poetry and Seodo folk song - Concentrated on 「Chindalrae (Azalea진달래꽃)」 and 「Chohon (Invocation초혼)」 -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변가>와 <진달래꽃>의 상호텍스트적 양상과 의미

Intertextual Aspects and Meanings of Yeongbyeon-ga and Jindalekkot(Azaleas)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