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성> 시 해석의 일방향
One Interpretation on ‘Jung-Ju Castle’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주성> 시 해석의 일방향
One Interpretation on ‘Jung-Ju Castle’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독서 교육에서 비평의 역할과 의미 : 김소월의 「산유화」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A Study on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Criticism in Literary Reading Education : Focusing on the Criticism on Sowol Kim’s “Sanyuhwa”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독서 교육에서 비평의 역할과 의미 : 김소월의 「산유화」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A Study on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Criticism in Literary Reading Education : Focusing on the Criticism on Sowol Kim’s “Sanyuhwa”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파상 단편의 한국어 이종 번역 연구 - 김소월과 최재서의 번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Different Korean Translations from a Short Story by Maupassant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모파상 단편의 한국어 이종 번역 연구 - 김소월과 최재서의 번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Different Korean Translations from a Short Story by Maupassant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감각(感覺)과 정조(情調)론을 중심으로 -
Modern Poetry and Tradition Interpreted thru 「Poetics of So-wol Kim」 by Jung-joo Suh :Focused on sensibility and lyric rhyme theory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Criticism about Poetic Diction and Style Between Kim So Wol and Baek Suk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월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의미 - 「먼 후일」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Time in Kim, So Wol's Poetry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서도성과 근대성-「진달래꽃」 「초혼」과 서도민요 ≪영변가≫ ≪제전≫의 비교 분석-
Kim So-wol' poetry and Seodo folk song - Concentrated on 「Chindalrae (Azalea진달래꽃)」 and 「Chohon (Invocation초혼)」 -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나타난 감정 분출의 기제
The mechanism of Emotion Spurt shown in Kim So-woal's Cho-hon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숭고 미학
The Sublime Aesthetic of Kim So-wol's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숭고 미학
The Sublime Aesthetic of Kim So-wol's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월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의미 - 「먼 후일」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Time in Kim, So Wol's Poetry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서도성과 근대성-「진달래꽃」 「초혼」과 서도민요 ≪영변가≫ ≪제전≫의 비교 분석-
Kim So-wol' poetry and Seodo folk song - Concentrated on 「Chindalrae (Azalea진달래꽃)」 and 「Chohon (Invocation초혼)」 -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숭고 미학
The Sublime Aesthetic of Kim So-wol's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의 숭고 미학
The Sublime Aesthetic of Kim So-wol's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적 디아스포라와 유랑 의식 -김소월, 이상화, 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Colonial Diaspora and Wandering Consciousness -Focusing on Kim, So-wol, Lee, Sang-hwa and Oh, Jang-hwan's Poetry-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적 디아스포라와 유랑 의식 -김소월, 이상화, 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Colonial Diaspora and Wandering Consciousness -Focusing on Kim, So-wol, Lee, Sang-hwa and Oh, Jang-hwan's Poetry-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Criticism about Poetic Diction and Style Between Kim So Wol and Baek Suk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