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
The reality of poet, meaning of writing popular song in modern Korea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계의 세대교체 —한성도서주식회사와 장도빈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A Shift of Generations in 1920's Translations : Focused on Hansung-doseo and Jang Do-bin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Formative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의 ‘서정’과 민요시론
Lyricism in Modern Poetry and Discourse on Folk Songs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Representation of ‘Street’ in Early 192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성도서주식회사 출간 번역 전기물 연구 - 출판 정황을 중심으로
On the Translated Biographies in the Early 1920's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성도서주식회사 출간 번역 전기물 연구 - 출판 정황을 중심으로
On the Translated Biographies in the Early 1920's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청년으로서 번역가 이상수와 번역의 운명
Yi Sang-su as a Translator and Literary Youth and the Destiny of a Translation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문학청년으로서 번역가 이상수와 번역의 운명
Yi Sang-su as a Translator and Literary Youth and the Destiny of a Translation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1920년대 타고르 시의 수용과 小波 方定煥의 위치
Acceptance of Tagore's Poems and the Position of Sofa, Bang Jeung Hwan in the 1920's
인문연구 |
63 |
2011 |
기타인문학
‘시’와 ‘노래’의 탈경계 : ‘가요시’의 형성과 유성기음반
The Cross-Boundary of 'Poem' and 'Song' : Formation of 'Popular song Poem' and SP Record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에 나타난 조선어 인식
The cognition on Chosun language of translation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와 ‘노래’의 탈경계 : ‘가요시’의 형성과 유성기음반
The Cross-Boundary of 'Poem' and 'Song' : Formation of 'Popular song Poem' and SP Record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랭보(Arthur Rimbaud) 수용의 초기 현황
La Réception et la traduction de Rimbaud de 1918 à 1953
프랑스어문교육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랭보(Arthur Rimbaud) 수용의 초기 현황
La Réception et la traduction de Rimbaud de 1918 à 1953
프랑스어문교육 |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에 나타난 조선어 인식
The cognition on Chosun language of translation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조선에서의『만엽집』수용 양상 -서두수와 김억의『만엽집』번역을 중심으로-
How『Mannyousyuu』was Accepted During Chosun Dynasty's Colonial Period -『Mannyousyuu』centrally translation from Seo Doo Soo and Kim Ok-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안서의 시학과 일본 체험
Anseo's poetics and experiences in Japan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서의 시학과 일본 체험
Anseo's poetics and experiences in Japan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김억 시론에 나타난 ‘詩魂의 恍惚’의 의미와 한계
A Study of ‘Ecstasy of the Poetic Soul(詩魂)’ in Kim Eok’s Poetics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절대적 보편과 형상에 대한 신념 -김억의 언어 인식과 시학-
絶対的普遍性とその形象への信念: 金億の言語認識と詩学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 속의 ‘베를렌的 눈물’ ― 김억과 주요한의 초기詩 중심으로
erlaine’s Tears in the Korean Modern Poetry ― Study focused on the early Uk Kim’s and Yohan Ju’s poem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구시 번역을 통한 근대 한국어 문장 형성 연구 ― 김억의 베를렌느와 보들레르 번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me aspect of the modernizationof the Korean sentence model - Focused on the Kim Eok's translation of Verlaine & Baudelaire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Translation and creation of Choson poetic form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시형의 모색과 율격 논의 - 김억의 「격조시형론」을 중심으로-
Explore the poetic form and discuss the metrical theory of early modern era -Based on Kyeokjosi of Kim U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억 시론에 나타난 ‘詩魂의 恍惚’의 의미와 한계
A Study of ‘Ecstasy of the Poetic Soul(詩魂)’ in Kim Eok’s Poetics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서구시 번역을 통한 근대 한국어 문장 형성 연구 ― 김억의 베를렌느와 보들레르 번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me aspect of the modernizationof the Korean sentence model - Focused on the Kim Eok's translation of Verlaine & Baudelaire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 한시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The Study of Aesthetic Consciousness shown in Kim Eok′s Chiness Poetry in Translation
어문연구 |
6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 한시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The Study of Aesthetic Consciousness shown in Kim Eok′s Chiness Poetry in Translation
어문연구 |
65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시론의 탈근대적 성격 ― 김억을 중심으로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Early Modern Poetics ― From the viewpoint of Kim-Eok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Translation and creation of Choson poetic form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