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탄잘리

연구분야 : A140200 인문학 > 기타동양어문학 > 인도어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380

한자 :
인도어(힌디) : Gītāñjali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한용운 () [ 韓龍雲 ]

RT (관련어)

번역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억 () [ 金億 ]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님의 沈默』에 나타난 타고르(R. Tagore)의 사상적 영향 고찰

The Study of R. Tagore's Philosophical Influences on the 『Nim-ui Chimmuk』(Silence of My Beloved)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님의 沈默』에 나타난 타고르(R. Tagore)의 사상적 영향 고찰

The Study of R. Tagore's Philosophical Influences on the 『Nim-ui Chimmuk』(Silence of My Beloved)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Pilgrimage to the Holy River Ganges: Its Manifestation in Indian Literature

인도 문학에서 보여지는 갠지스 강으로의 성지 순례 연구

남아시아연구 | 18 | 1 | 2012 | 지역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Eok's Translation and his Perspective on Translation - A Focus on Gitanjali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Eok's Translation and his Perspective on Translation - A Focus on Gitanjali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