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연구분야 : B081200 사회과학 > 사회학 > 정치사회학/사회운동론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A081400 인문학 > 불교학 > 응용불교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91

한자 : 韓龍雲
기타 : Han Yong-un
기타 : Han Yong-woon
기타 : 만해 한용운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법명

 

용운 [ 龍雲 ]

UF (비우선어)

법호

 

만해 [ 萬海 ]

UF (비우선어)

속명

 

정옥 [ 貞玉 ]

UF (비우선어)

아명

 

유천 [ 裕天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민족대표 33인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기탄잘리 [Gītāñjali]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민족 불교 () [ 民族佛敎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중 불교 () [ 大衆佛敎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백담사 [ 百潭寺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호 (법호) [ 鼎鎬 ]

RT_X (관련어►)

주창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불교 근대화 () [ 佛敎近代化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고려대장경의 해인사 이운 시기와 경로

The Timeline of How the Tripitaka Koreana Was Brought To Haeinsa Temple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만해 한용운의 평화사상과 한반도 통일

A Study on the Peaceful Thought of Manhae, Han Yong Wo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전략 | 12 | 1 | 2012 | 북한정치/통일

한, 중, 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The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n Social Evolution between Buddhism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한, 중, 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The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n Social Evolution between Buddhism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Rituals in the Korean Modern Newspapers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Rituals in the Korean Modern Newspapers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현공 윤주일의 불교사상

Hyungong Yun Ju-Il's thoughts on Buddhis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현공 윤주일의 불교사상

Hyungong Yun Ju-Il's thoughts on Buddhis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불교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근대불교 서술

A Study on the Research of the Korean Modern Buddhism History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禪文化硏究 | 10 | 2011 | 기타불교학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Rituals in the Korean Modern Newspapers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Rituals in the Korean Modern Newspapers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불교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근대불교 서술

A Study on the Research of the Korean Modern Buddhism History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禪文化硏究 | 10 | 2011 | 기타불교학

‘진정한 자아’를 향한 相反合一의 詩 세계 ― 王維, 한용운, W.Blake의 시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69 | 2011 | 중국어와문학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The Meaning of 'Moon' in Hyangga 「Wonwangsaenga」, 「Changiparanga」 and in Poems of Manhae Han Yong-un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김성숙 연구의 성과와 과제

The achievement and problems of the studies on Kim Seong-Sook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1970년대 『創作과 批評』의 韓龍雲論에 담긴 비평전략

A study on the Changbi’s strategies of the discourses on Han Yong-un in 1970’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만해 한용운의 구국투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 Yong-Un's Struggle for Saving Country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Manhae's moral imagination and literary relationship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한용운의 『乾鳳寺 事蹟』

Compilation of Temple Magazine and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한용운의 『乾鳳寺 事蹟』

Compilation of Temple Magazine and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한용운 <님의 침묵> 연구

Study on Han Yong-woon's collection of poem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

A Study on the Origin of Han Yong-Un's Racial Thought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불교의 인과율로 본 한용운 문학의 존재양상

Karma As a Mode of Literature for Han Yong Wun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인과율로 본 한용운 문학의 존재양상

Karma As a Mode of Literature for Han Yong Wun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음’을 통한 한용운 문학의 불교해석학적 고찰

The Analytic Study of Han YongWoon's Literature by 'Mind'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음’을 통한 한용운 문학의 불교해석학적 고찰

The Analytic Study of Han YongWoon's Literature by 'Mind'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사유의 특성과 동양과 서양 사상의 회통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in Han Yong-woon’s Poems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한용운의 『乾鳳寺 事蹟』

Compilation of Temple Magazine and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한용운의 『乾鳳寺 事蹟』

Compilation of Temple Magazine and Han Yong-Woon’s 『Geonbongsa Sajeo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한용운의 근대 인식과 서양철학 이해

Han, Yong-Un's Modern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한용운 시에 나타난 카오스모스의 생태시학

The Eco-Poetics of Chaosmos Revealed on Yong-Woon Han's Poem

문학과환경 | 9 | 1 | 2010 | 문학

한용운 시에 나타난 카오스모스의 생태시학

The Eco-Poetics of Chaosmos Revealed on Yong-Woon Han's Poem

문학과환경 | 9 | 1 | 2010 | 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을 통해 본 萬海의 近代認識

A study on Manhae's Modern recogni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Love'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신간회 경성지회 주도세력과 ʻ비타협ʼ 논쟁

The Leading Party of Singanhoe Seoul Branch and An Intransigent Problem

서울과 역사 | 78 | 2011 | 역사학

만해 한용운의 구국투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 Yong-Un's Struggle for Saving Country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사유의 특성과 동양과 서양 사상의 회통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in Han Yong-woon’s Poems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Manhae's moral imagination and literary relationship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