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The Antefix Tiles and Landscape of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Baekje.
호서고고학 |
23 |
2010 |
기타고고학
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The Antefix Tiles and Landscape of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Baekje.
호서고고학 |
|
23 |
2010 |
기타고고학
신안군 비금면 일대 보전가치가 있는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관리 방안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Uninhabited Islands which have Conservative Values in Bigeummyeon, Shinangun
한국도서연구 |
23 |
4 |
2011 |
지역학
서울시 공공시설물 정책과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oul City Public Accommodation Thing Policy and Design Directionality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1 |
1 |
2012 |
기타디자인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광주 대인동 ‘집창촌’의 ‘매춘’ 지리학 -집창촌에서 ‘매춘여성’의 ‘포함적 배제’-
Geography of ‘Prostitution’ in 'Red-Light Districtsof Daein-dong in Gwangju - ‘Exclusion/Inclusion’ of ‘Prostitutes’ in Red-Light Districts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4 |
3 |
2011 |
지리학
로버트 벤투리와 알도 로시 건축에서 도시 경관의 의미와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Urban Landscape in Architecture of Robert Venturi and Aldo Ross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무인도서 관리를 위한 지형․지질․경관 평가방법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f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Evaluation Method for Uninhabited Island Management
한국도서연구 |
23 |
4 |
2011 |
지역학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Geotourism in Gwanmae Eight Landscape, Jindo, Jeollanamdo
한국도서연구 |
24 |
1 |
2012 |
지역학
Human Responses as Landscape Indicators of the Place Vulnerability
장소 취약도에 대한 경관지표로서의 인간의 대응
한국지형학회지 |
19 |
1 |
2012 |
지리학
조선 초기 개성의 경관 변화
The variation of Kyesung's view in early Chosu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2 |
2012 |
역사학
현대 한국미술과 도시문화 -1980·90년대 미술에 표현된 서울의 도시풍경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Korean Art and Urban Culture -from Landscape as a Contemplated Object to the Dairy Life in Seoul
동악미술사학 |
11 |
2010 |
기타예술체육
현대 한국미술과 도시문화 -1980·90년대 미술에 표현된 서울의 도시풍경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Korean Art and Urban Culture -from Landscape as a Contemplated Object to the Dairy Life in Seoul
동악미술사학 |
|
11 |
2010 |
기타예술체육
일본의 경관운동에 관한 일고찰 - 지역경관의 보존과 형성을 위한 주민의 역할-
日本の景観運動に関する一考察 - 地域景観の保存と形成における住民の役割 - A study on landscape movements in Japan: - The role of residents in preserving and building landscapes in local areas -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사회주의 시기 베이징의 기억·공간·일상 :「 사나운짐승들」과「햇빛쏟아지던날들」을중심으로
社会主义时期北京的记忆·空间·日常 : 以「动物凶猛」,「阳光灿烂的日子」为中心
서강인문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주의 시기 베이징의 기억·공간·일상 :「 사나운짐승들」과「햇빛쏟아지던날들」을중심으로
社会主义时期北京的记忆·空间·日常 : 以「动物凶猛」,「阳光灿烂的日子」为中心
서강인문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환경친화적 도시행정을 위한 법적 과제
The Legal Task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dministration
행정법연구 |
26 |
2010 |
법학
환경친화적 도시행정을 위한 법적 과제
The Legal Task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dministration
행정법연구 |
|
26 |
2010 |
법학
옥외광고물과 시각심리(압박감)와의 상관관계 -경성대, 부경대 부근 도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Outdoor Advertisement and Visual Psychology (Pressure) -Focused on the roads adjacent to Kyungsung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조형미디어학 |
13 |
4 |
2010 |
기타미술
옥외광고물과 시각심리(압박감)와의 상관관계 -경성대, 부경대 부근 도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Outdoor Advertisement and Visual Psychology (Pressure) -Focused on the roads adjacent to Kyungsung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조형미디어학 |
13 |
4 |
2010 |
기타미술
서울의 정체성을 위한 경관조명계획의 연구 및 제안
A Study & Proposal on Landscape of Lighting Plan for Seoul Identity
한국디자인포럼 |
33 |
2011 |
디자인
인문 텍스트와 명승(名勝) -고창 선운산 일대를 중심으로-
The landscape and Practical Reference of the Humanities Text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서부 지역 고가수조 경관의 형성배경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Elevated Water Storage Tank Landscape in the Western Region of Jeju Island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6 |
2010 |
지리학
제주도 서부 지역 고가수조 경관의 형성배경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Elevated Water Storage Tank Landscape in the Western Region of Jeju Island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6 |
2010 |
지리학
신성공간이 주는 새로운 경관적 시각과 장소적 함의: ‘절두산 순교 성지’를 사례로
New Spatial Perspective of Sacred Space: The case of ‘Jeoldusan Martyrs’ Shrin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
생활환경 경관개선을 위한 도시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도봉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Design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fe Environmental Townscape - Focused on the Planning Process for Dobong-gu Urban Design Master Plan -
한국디자인포럼 |
28 |
2010 |
디자인
생활환경 경관개선을 위한 도시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도봉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Design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fe Environmental Townscape - Focused on the Planning Process for Dobong-gu Urban Design Master Plan -
한국디자인포럼 |
|
28 |
2010 |
디자인
국내 특ㆍ광역시 경관, 도시디자인 및 공공디자인 정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ublic Design, Urban Design and Landscape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도시설계 |
12 |
2 |
2011 |
도시개발/계획
ÉTUDE PRÉLIMINAIRE POUR LE PROJET DE LA CONVENTION MONDIAL SUR LE PAYSAGE ÉTUDE PRÉLIMINAIRE POUR LE PROJET DE LA CONVENTION MONDIAL SUR LE PAYSAGE
세계경관협정안을 위한 사전적 연구
환경법연구 |
34 |
2 |
2012 |
법학
유럽경관협약에 비추어 본 경관법의 현황과 쟁점
La construction et des Questions de la loi du paysage à l'oeuil de la convention européenne du paysage
법학연구 |
30 |
2010 |
법학교육
유럽경관협약에 비추어 본 경관법의 현황과 쟁점
La construction et des Questions de la loi du paysage à l'oeuil de la convention européenne du paysage
법학연구 |
30 |
|
2010 |
법학교육
하회마을 경관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 5개의 경관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Landscape Elements in Hahoe Village - Focused on the 5 Landscape Elements
도시설계 |
12 |
1 |
2011 |
도시개발/계획
경관법 제정의 세계화와 한국의 과제
The Globalization of the Legislation of Landscape Law and the Challenges of Korea
성균관법학 |
24 |
3 |
2012 |
법학
경관색채의 측색방법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research about the colorimetry of color-landscape
한국디자인포럼 |
36 |
2012 |
디자인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 충남 금산군을 대상으로 -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Reading the Meanings of the Jinsan and Jusan of Eupchi(county seat) in the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2 |
2 |
2010 |
인문지리학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Reading the Meanings of the Jinsan and Jusan of Eupchi(county seat) in the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2 |
2 |
2010 |
인문지리학
경관개선을 위한 소규모 주거건축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구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mall-scale Residential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주거환경 |
9 |
2 |
2011 |
국제/지역개발
(탈)중심화 경관의 해석을 위한 틀: 권력, 주체성, 수행성
A Framework of Interpretating (de)Centralized Landscape: an Interaction of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
(탈)중심화 경관의 해석을 위한 틀: 권력, 주체성, 수행성
A Framework of Interpretating (de)Centralized Landscape: an Interaction of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
‘기억의 저편’: 보령 성주리 탄광마을의 삶과 경관, 그리고 회상
Life, Landscape and Memory of the Coal Village of Sungjoo-ri in Boryong City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