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제주의 상징성 연구 - 토포스(topos)로서의 제주
A study on symbolism of Jeju island shown in novel written by Yun Dae-nye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오규원 시에 나타난 날이미지의 환유 체계 연구
A Study on Metonymy of Raw image poetry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樓亭문화의 미의식에 관한 고찰
Beauty of 'Scenic Pavilion' as a Space for 'Elegant Life'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필립 오토 룽에의 연작 <하루의 시간들>: 낭만적 풍경에 나타난 시간의 변증법
Philipp Otto Runge’s The Time of Day: A Romantic Landscape and the Dialectics of Times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필립 오토 룽에의 연작 <하루의 시간들>: 낭만적 풍경에 나타난 시간의 변증법
Philipp Otto Runge’s The Time of Day: A Romantic Landscape and the Dialectics of Times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식민화 교육 담론의 자체 모순과 혼란 -『학부의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를 중심으로
A Contradiction and Confusion of the Discourse of Colonial Education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주민 서사에 재현된 ‘네팔’ 표상과 서사의 욕망
Symbol of 'Nepal' and Desire of Narrative in the Story of the Immigrant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웃의 토토로>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A Study of Storytelling Strategy of My Neighbor Totoro
문학과 영상 |
12 |
4 |
2011 |
영상문학
클로델 시의 풍경과 유토피아적 공간의 구축 — 『동양 인식』을 중심으로
Le paysage dans la poésie claudelienne et la construction utopique — autour de Connaissance de l'Est
불어불문학연구 |
8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Sublime et seuil chez Philippe Jaccottet et Cho Jungkwon
숭고와 경계, 필립 자코테와 조정권
불어문화권연구 |
21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룽에의 색채 이론 연구: 회화적 실천 언어에 내재된 종교적 상징성
A Study on Philipp Otto Runge's Color Theory: Religious Significance within the Artistic Language
미술사학보 |
36 |
2011 |
미술
소명으로서의 분열- <사당동 더하기 22>가 사회학에 제기하는 문제들
The Division of Soul as a Calling for Sociologist
문화와 사회 |
12 |
1 |
2012 |
문화/종교사회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시각 체계의 다원성 - 새로운 ‘풍경’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The Plurality of Vision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An Essay on the Concept of a New "Landscap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오베르만』의 풍경묘사에 관하여 - 빛과 어둠의 문제를 중심으로
Une étude sur la description des paysages dans Obermann - autour des problèmes de lumière et d'obscurité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그리고 여행의 의미
The Landscapes, Gazes and the Meaning of Travel in Baik Suk's Poetry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시적-관찰자적 양식의 비디오 다큐멘팅을 통한 풍경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Landscape Narrative through Video Documenting in Poetic-Observational Mod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시적-관찰자적 양식의 비디오 다큐멘팅을 통한 풍경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Landscape Narrative through Video Documenting in Poetic-Observational Mod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장소의 재현과 서사전략: 키플링의 『킴』과 포스터의 『인도로 가는 길』
Representation of Place and Narrative Strategy: Rudyard Kipling's Kim and E.M. Forster's A Passage to India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일본근대문학과 미술에서의 풍경의 발견 -사생과 사의 논쟁을 중심으로-
Discovery of ‘Landscape’ in modern Literature and Painting of Japan -focused on sketch and idea-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Le paysage du chaos et du cosmos chez Valéry – le décor et l’esthétique d’Orphée et d’Amphion
발레리의 작품에 나타나는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풍경 - 「오르페우스 Orphée」와 『암피온 Amphion』의 배경과 미학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Le paysage du chaos et du cosmos chez Valéry – le décor et l’esthétique d’Orphée et d’Amphion
발레리의 작품에 나타나는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풍경 - 「오르페우스 Orphée」와 『암피온 Amphion』의 배경과 미학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Horizon et structure d’horizon: entre Orient et Occident
동서양의 지평과 지평구조
유럽사회문화 |
1 |
2011 |
기타인문학
『전국의 온천안내』와 온천 기행문
日本語文學 |
1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전국의 온천안내』와 온천 기행문
日本語文學 |
1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국 영화에 나타난 풍경의 의미 분석-전수일, 홍상수를 중심으로-
L’analyse de la Signification du Paysage dans le Cinéma Coréen - Autour de Jeon Soo-il et de Hong Sang-Soo -
인문콘텐츠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영화에 나타난 풍경의 의미 분석-전수일, 홍상수를 중심으로-
L’analyse de la Signification du Paysage dans le Cinéma Coréen - Autour de Jeon Soo-il et de Hong Sang-Soo -
인문콘텐츠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바슐라르의 윤리적 상상력과 풍경의 상상학 -「풍경」 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석-
Imagination éthique et Imaginologie du paysage chez G. Bachelard -une nouvelle approche sur les Paysages-
프랑스학연구 |
5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바슐라르의 윤리적 상상력과 풍경의 상상학 -「풍경」 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석-
Imagination éthique et Imaginologie du paysage chez G. Bachelard -une nouvelle approche sur les Paysages-
프랑스학연구 |
|
5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풍경의 발견과 풍경의 미학-자연과 예술의 변증법적 관계에 대한 고찰
Discovery of Landscape and Aesthetics of Landscape:A study on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t
민족미학 |
11 |
1 |
2012 |
미학일반
20세기 프랑스 시의 풍경과 신화적 공간구조 -발레리, 클로델, 본느푸아를 중심으로-
Le paysage de la poésie française au XXe siècle et une structure mythique de l'espace -dans les oeuvres de Valéry, Claudel, Bonnefoy-
프랑스학연구 |
5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20세기 프랑스 시의 풍경과 신화적 공간구조 -발레리, 클로델, 본느푸아를 중심으로-
Le paysage de la poésie française au XXe siècle et une structure mythique de l'espace -dans les oeuvres de Valéry, Claudel, Bonnefoy-
프랑스학연구 |
|
5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